리뷰비행 2209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코로나19 문화계 피해 확산 속 양극화 뚜렷"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문화계 양극화 현상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문화예술계 중에서도 특히 공연계 예매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는데, 어느 정도인가요? ▶지난 달과 이번 달 통계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지난달 1월 넷째 주 44만건이었고, 주간 예매 건수는 다섯째 주 43만건이었습니다.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음원 사재기` 유발하는 실시간 차트 없애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한 가수가 구체적인 실명을 거론하며 음원 사재기를 문제 삼은 걸 두고서 찬반논란이 있다면서요? ▶그렇습니다. 2013년 이후 계속 사재기 의혹이 제기되었고, 많은 이가 음원 사재기 문제를 제기하며 수사까지 촉구했지만 실체와 사례는 잘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줄기차게 지속되었던 음원 사재기는 지난해 닐로ㆍ숀 등 일부 중소 제작사 가수의 음원이 이상 급등 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기생충` 만든 나라의 영화 산업구조가 불평등...부끄러운 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서종빈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이른바 `포스트 봉준호법`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영화인 1325명이 영화산업의 구조 개선을 담은 포스트 봉준호법에 서명했다고 하는 데 포스트 봉준호 법이란 뭔가요? ▶온라인으로 많은 영화인들이 서명운동을 했습니다. 이른바 ‘포스트 봉준호법’은 대기업의 영화 배급·상영 겸업, 특정 영화 스크린 독과점, 독립·예술영화 지원 제도 등 영화계의 모순에 관한 개선책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혐오와 비방 넘쳐나는 포털 댓글과 실검 제한, 긍정적 변화"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포털사이트의 댓글과 실시간 검색어 조작 논란 등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총선이 40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포털사이트 댓글과 실시간 검색어 조작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데요.대표적인 게 `차이나 게이트`라고 하던데, 이게 뭔가요? ▶중국인 혹은 중국인 유학생, 이주동포-조선족들이 네이버·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게시글·댓글 작성, 공감수 조작 등을 통해 대규모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아레나 건립 과당 경쟁 부작용 경계해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오늘은 아레나 공연장 건립 러시 배경과 과제에 관해 김헌식 박사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우리 가수가 해외 아레나에서 공연을 한다는 소식을 많이 접하게 되고 우리나라에 생긴다는데요. 요즘 주목을 받고 있는 아레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케이 팝 가수들이 해외 공연을 할 때 아레나 공연을 한다는 소식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아레나 공연장에서 공연을 하면 최고 가수임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음원 수익 정산 방식 개선, 이용자 중심 음악플랫폼 생성"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스트리밍 음원 수익 정산 방식 개선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한 음악 플랫폼이 음원 수익 정산 방식을 바꾸겠다고 밝혔다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음원 사이트를 이용할 때 서비스 방식 가운데 하나가 스트리밍 방식인데, 스트리밍 요금에서 국내 음악 플랫폼이 음원 수익 정산 방식을 ‘이용자중심’ 체계로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비례배분제’가 불합리하다는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온라인 공연, 대중화 위해 바람직하지만 공적 지원 뒷받침돼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코로나 19 확산으로 온라인 공연과 강의가 대세인데요. 문제는 없는지,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코너에서 짚어보겠습니다. 김헌식 박사와 함께 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방구석 콘서트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고 해요. 온라인으로 중계해주는 방식을 말하는 것일텐데, 아무래도 장점이 있기 때문이겠죠 ?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문화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연계는 공연을 전면 취소하지 않고 무관중 공연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유아용품 등 아이들 성역할 규정하는 사례는 인권침해"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문화평론가와 함께 문화 속 성중립 논쟁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새해들어 국가인권위 1호 청원이 성중립 사안이라고 하던데요. 시민단체가 국가인권위원회에 영유아 물품의 성차별적 성별 구분을 바로잡아달라면서 진정안을 제출한 건가요? ▶네. 시민단체는 유아용 제품들이 기능과 관계없이 성별을 구분해 아이들의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영아용 젖꼭지와 옷, 치약·칫솔,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젊은 작가들, 불공정 관행 거부...독립문학 선언도"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오늘은 젊은 작가들이 문학계에 만연한 구태와 관행을 거부하고 나섰다는 소식, 김헌식 문화평론가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김금희 작가에 이어 최은영, 이기호 등의 작가들이 수상을 거부했다고 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불합리한 계약 논리에 저항을 한 것입니다. 이상 문학상의 주최측이 문학사상사가 작가들에게 작품의 권리에 관해 3년 동안 양도해야 한다고 요구했기 때문입니..

카테고리 없음 2020.06.15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신종코로나 문화예술계 `타격`...영세업체 구제 대책 필요"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사태가 문화예술계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보고, 대책에 관해사도 생각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시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문화공간이 영화관인데, 다섯 번째 확진자가 영화관을 방문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극장가 전체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요? ▶다섯 번째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극장을 다녀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극장가에 상당한 악재가 예상됩니다. CGV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