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비행 2209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평론가 "사은품 과열 양상...약자들 짓밟고 소외시키는 상술로 전락"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커피전문점 사례로 본 과도한 사은품 문화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커피전문점의 사은품 행사가 과열 양상을 보여 눈살을 찌푸리게 했는데, 어떻길래 그런 건지 다시 정리해볼까요?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한 지점 사례가 논란을 일으켰는데 한 남성이 커피 약 300잔을 구매하고 사은품 가운데 하나인 작은 가방 17개와 커피 한 잔만 챙기고 나머지 299..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주홍글씨` 등 자경단 불법 행위 법적 처벌 이뤄져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이른바 N번방 사건, 온라인 자경단 논란 등에 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이른바 `n번방 사건`과 관련해 논란이 되고 있는 `온라인 자경단`이 뭔가요? ▶온라인 자경단이란 성 착취 음란물을 제작,유통, 구매, 소비하는 남성들의 이름, 나이, 전화 번호, 주소, 직업 등 신상정보를 공개하며 경찰 수사를 돕겠다는 온라인 활동을 말합니다. n번방의 핵심 운영자들의..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문화예술인 생계 지원 `뉴 노멀` 필요해"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문화예술계 긴급재난생활지원에 관해 살펴봅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정부에서 추가로 프리랜서, 문화예술가들을 위해 한 달 50만 원씩, 3개월간 지급하기로 했는데, 문화예술계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 ▶1차에 이어서 2차로 93만명 지원하기로 했는데 수백 만명에 이르는 예술계들에게 턱없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몇 명만 골라서 지원하는 것은 자격여부를 판가름하는 과..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8년 만에 장애예술인 지원법 통과했지만...기금 설치 조항 빠져 안타까워"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문화평론가와 함께 20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통과한 문화예술 관련법 내용과 한계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엊그제 20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통과한 문화예술 관련법 중에 눈에 띄는 게 예술인의 고용보험 가입에 관한 일부개정안이더군요. 내용과 의미를 먼저 짚었으면 합니다. ▶예술업계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7만 명이라고 하지만 전업으로 하지 않는 이들까지 생각하면 훨씬 더 많은..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확진자 `아웃팅` 논란...성소수자 편견 조장 보도가 문제"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코로나19 클럽 확진자 보도와 관련한 문제점에 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클럽을 방문한 20대 확진자를 통한 집단감염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 동선을 공개한 걸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건가요? ▶지자체와 정부가 공식적으로 보도하기 전에 언론이 먼저 경쟁적으로 보도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5월1일을 전후로 이태원의 클럽을 방문했다..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문화예술계 꾸준한 작품 활동으로 세월호 계속`기억`"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세월호 6주기를 맞아 계속되는 문화예술계의 기억, 작품활동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우선 블랙리스트로 지난 정권에 탄압을 받았던 연극계는 여전히 세월호를 무대에서 기억하고 있죠? 어떤 작품들이 있습니까? ▶코로나 19 때문에 공연계 특히 작은 규모의 연극들이 더 어렵습니다. 그런 가운데 이라는 이름으로 모두 10개 공연이 혜화동1번지, 연우소극장, 성북마..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영화예술, 극장업 지원 대책...어떻게 해야할까"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영화 관람객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지고 심지어 극장 영업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죠? ▶코로나19 확산으로 극장의 관람객 수가 급감하고 있고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가 일부 극장 영업 중단 등의 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1∼16일 극장을 찾은 전체 관객은 117만 1749명입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13만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2미터 거리 준수 소규모 공연장, 인센티브 지원 부여해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문화생활 방역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대형 공연장의 출연 배우가 확진자로 밝혀지기도 해서 떠들썩했는데, 이후 공연장을 중심으로 어떤 조치가 이뤄지고 있는지요? ▶공연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한 건 처음입니다. 그것도 비교적 안전하다는 큰 공연장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월드투어의 앙상블 배우가 확진 판정을 받았고 공연팀 외국인도 추..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온라인 그루밍 범죄 막으려면 초기 참여 행위부터 처벌해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n번방 사건과 온라인 그루밍 대책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유엔이 아동 성폭력 예컨대 온라인 그루밍의 위험이 증가할 거라며 이에 대한 긴급 조치를 각국 정부에 촉구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요? ▶유엔 인권최고대표실(OHCHR)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온라인 사용자가 늘어 사이버 폭력이 급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선 것입니다. 유엔 인권..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문화예술인 병역특례 형평성 논란…`마일리지제`로 개선?"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어제 정부가 `병역 대체복무 제도 개선방안`을 확정했는데, 논란이 되었던 대중가수들의 병역 특례는 받아들이지 않았죠? 어떤 이유를 들었나요? ▶한류로 기여한 대중음악 가수들에게 병역 대체복무를 허용하자는 제안이 있어 왔는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폐지까지도 검토되었던 예술·체육요원 대체복무 제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예술·체육요원은 특정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