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75

MB...손석희...영화 <심야의 FM>의 고선영

MB...손석희...영화 의 고선영... 2010.10.22 09:56 [김헌식 문화평론가]*아래 칼럼에는 영화 '심야의 FM'에 대한 스포일러성 내용이 포함돼있습니다. "영웅은 고통을 통해 성장한다." 조셉 캠벨의 신화론에 나오는 말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말이 대중적으로 크게 인식되게 된 계기중 하나는 영화 (1976)일 것이다. 영화에서 트레비스는 자신이 대단한 일을 하는 영웅으로 자인하지만, 결국 그것은 영웅의 행동과는 달랐다. 보편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범죄를 스스로 합리화할 뿐이었다. 영웅이 고통을 통해 성장한다는 말은 결국 일말의 가책조차도 털어내기 위한 자기최면이었다. 영화 의 한동수(유지태 분)는 새벽 2~4시 라디오 '한밤의 영화..

영화 2011.02.09

사이버킬, 성추문 여교사행위보다 더 나쁘다

사이버킬, 성추문 여교사행위보다 더 나쁘다 2010.10.20 15:22 [김헌식 문화평론가]어느 현직 여교사는 데이트를 즐겼다가 큰 일을 당했다. 어느 교사지망 여성은 데이트를 신청했다가 국민적인 영웅이 되었다. 앞의 큰일 당한 여교사는 자신의 제자와 성관계를 맺었다고 해임의 수순에 들어갔고, 교사지망 여성은 임용고시의 결함을 지적하며 교육과학부장관과 데이트 신청을 했다가 국민적 선호를 받은 사례가 되겠다.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동기는 같지만 각기 행동이 전혀 다른 결과를 낳게 되었다. 영화 (2008)는 미성년 소년과 성숙한 여성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10대 소년 마이클은 30대의 한나와 사랑에 빠지고 성관계도 맺는다. 하지만 둘은 누구에게도 자신들이 연..

미디어 2011.02.09

성균관 유생과 화랑도는 왜 꽃미남 천국인가

성균관 유생과 화랑도는 왜 꽃미남 천국인가 2010.10.18 08:54 | 누가 봤을까? 20대 여성, 부산 [김헌식 문화평론가]공민왕은 재위 16년(1367) 12월, 숭문관 옛 터에 성균관을 창건했고, 이색을 중심으로 삼아 성균관을 중영, 제2의 도약기를 마련했다. 공민왕은 결국 고려의 중흥을 위해 많은 인재들을 길러내려 노력했다. 실무적인 기술을 익힌 관리들을 집중 육성하는 것이 대표적인 인재상이기도 했다. 하지만 여기에서 길러진 신진사대부들은 고려의 중흥에 머물지 않았다. 결국 정도전을 비롯한 성균관 출신의 신진사대부들은 이성계와 손을 잡고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운다. 성균관을 국비장학생교육기관을 생각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프랑스의 국립행정학교(Ecole nationale d´adm..

드라마 2011.02.09

정치 냉소주의 부추기는 드라마 ´대물´

정치 냉소주의 부추기는 드라마 ´대물´ 2010.10.15 09:00 [김헌식 문화평론가]찰스 린드블럼(Charles Lindblom)은 "정치 과정은 진흙 사이의 통나무 굴리기(Muddling Through)"라고 말한 바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이익을 조정하고 명분과 실제 사이의 간격을 줄여가는 것이 정치과정이자 정책 형성이다. 이러한 주장은 점증주의적 태도이다. 때로는 지난하고 답답하기도 하지만 결국 정치과정과 정책의 효과는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또한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근시안적이거나 감정적으로만 움직일 수는 없다. 때로는 당장에 해가 되는 일들이 장기적으로는 큰 이로움이 되는 경우도 많다. 선과 악의 이분법적으로 정치과정에 접근할때 오히려 새로운 악으로 탄생할 수 있..

드라마 2011.02.09

타블로-타진요 논란, 본질을 놓치다

타블로-타진요 논란, 본질을 놓치다 2010.10.09 16:35 | 수정 2010.10.09 16:37 [김헌식 문화평론가]개인과 개인간, 집단과 집단간의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이 고전적이라면, 현대사회일수록 사회적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이 높아진다. 여기에서 사회적 전략이라는 것은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신의 세를 확장하고 그것을 통해 이득을 취하는 것이겠다. 그러한 사회적 전력은 개인이 전적으로 추구할 수도 있고, 대리인을 통해 목표를 이룰 수도 있다. 현대사회의 복잡성과 다층성 때문에 혼자 수행하기보다는 대체적으로 다른 관련 전문 에이전트를 대행시키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대중사회가 확대되고 매체의 수단에 대중이 접근하기 쉬워질수록 이러한 대중전략은 먹혀들어간다. 그런데 이 대중의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문화 2011.02.09

구미호와 이승기는 행복했을까

구미호와 이승기는 행복했을까 2010.10.04 09:33 [김헌식 문화평론가]대중문화계에서 남성 캐릭터를 두고, 하나의 논쟁이 될 수 있는 것이 이승기다. 이승기가 ´내 여자라니까´로 데뷔해 인기 있을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할 지속성이다. 이승기를 잘 표현한 단어가 '허당'이다. 허당이라는 말은 '기대불일치'에서 비롯한다. 대개 일하는데 이러한 말이 사용되면 헛일이라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사람에게 사용되면 속이 꽉 찬 사람인줄 알았더니 그렇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진지하고 속이 깊은 줄 알았더니 철이 없고 가벼운 사람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면 대개 이런 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허당 이승기'는 KBS 에서 비롯했다. 리얼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대개 스타나 연예인들의 인간적인..

드라마 2011.02.09

오디션의 공정성과 ´칼린쌤´ 리더십

오디션의 공정성과 ´칼린쌤´ 리더십 2010.09.30 09:27 | 수정 2010.09.30 09:59 [ 김헌식 문화평론가] 과 같은 일반인 참여의 오디션 프로그램은 뜨거운 반응과 높은 시청률 때문에 화제가 되었고 한국에서도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 제작으로 이어졌다. 2002년 MBC 의 ´악동클럽´, 2006년 , 2007년 MBC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대부분 좋은 기획의도에도 불구하고 대중적 관심이 그렇게 높지 않았고, 언제 방영되었나 싶게 프로그램 간판을 내리고는 했다. 그러나 최근 나 신드롬은 이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주목을 낳았다. 는 ..

문화 2011.02.09

중국인이 이대를 정말 좋아하는 이유는?

중국인이 이대를 정말 좋아하는 이유는? 2010.09.27 08:52 [김헌식 문화평론가]한 중앙일간지는 최근 중국인들이 이화여대 앞에 몰려든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대 앞에서 사진을 찍거나 거닐면 돈을 많이 벌고 결혼을 잘하고 2세를 잘 낳을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이란다. 무엇보다 이화여대의 이화(梨花)의 중국어식 발음이 중국어의 '利發'의 발음과 같다는 것. 배꽃 이(梨)는 이익을 뜻하는 '利'(li)와 같고 꽃 화(花)는 돈을 번다는 '發'(fa)자와 같다는 것. 이 때문에 이화여대에서 사진을 찍거나 거닐면 부자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문 덕에 중국과 홍콩, 대만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든다는 것인데, 이러한 지적은 한국인들이 중국인을 바라보는 전형적인 오류가 두 가지 담겨 있다. 우선은 일..

문화 2011.02.09

광장세대가 성공시킨 ´록페´ 전설이 되려면

광장세대가 성공시킨 ´록페´ 전설이 되려면 데일리안 | 입력 2010.09.25 07:29 [김헌식 문화평론가]영국 남서부 서머싯 주의 옛 도시 글래스톤베리Glastonbury)는 전설의 고장이었고, 그 전설의 영광을 다시 만들어준 것이 음악페스티벌이었다. 오랜 옛날 글래스톤베리는 아더왕의 안식처였고, 1191년에는 아서왕의 유해가 실제로 발굴되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1세기경 아르마티아의 요셉이 예수의 성배를 가지고 정착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이러한 전설들이 유구하게 전해지는 덕에 이 고장 사람들에게는 성스럽고 정결함의 정체성이었고, 이 지역민들도 이를 큰 자부심과 긍지로 여기고 있었다. 엄숙하고 차분한 글래스톤베리는 농촌의 정서가 묻어나는 고요의 명상 지역으로 각인될 법한데, 어느날 도발과 광기,..

문화 2011.02.09

50년대로 회귀한 추석 선물의 사회사

50년대로 회귀한 추석 선물의 사회사 2010.09.22 07:04 [김헌식 문화평론가]트리클다운(Trickle-Down)하면 부시 정부에서 이루어진 경제정책을 떠올리지만, 본래 이 개념은 경제정책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이 개념을 주창한 사람도 경제학자가 아니라 사회학자였다. 개념을 만들어낸 목적도 경제 분석이 아니라 유행의 분석이었다. 1904년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이 유행의 변화에 대한 가설로 트리클다운 효과를 만들어냈다. 유행은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의 상품소비를 흉내 내면서 이루어진다. 상위집단이 소비하는 상품은 상위집단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하위집단은 그것을 소비한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이 자신들의 상품소비를 따라 하기 때문에 차별성을 가질 수 없다. 그렇기 때..

문화 2011.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