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4

케이 팝 컬처 팬이 한국에 오면

케이 팝 컬처 팬들에게 한국 현실은?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정책학/문화정보학 박사, 평론가) 케이 콘텐츠로 한국을 방문하는 이들은 늘어가고 있다.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의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국다움’ 하면 무엇을 떠올릴 것 같냐는 질문에 외국인 응답자의 93.10%(이하 복수 응답)은 ‘한류 스타일’이었다. 한류 스타일은 K-팝, 드라마, 영화, 패션, 뷰티 등이었다. 한국의 이미지 상승에 기여한 사건은 외국인은 95.07%가 한국 드라마·영화의 글로벌 흥행이라고 했다. 넷플릭스 설문조사에서 K-콘텐츠 시청자의 한국 방문 의향이 72%에 이르렀고 비시청자 대비 두 배 가까이라는 데이터도 있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8월 방한 외국인은 182만199명이었고 작년 같..

카테고리 없음 2025.11.04

폭군의 쉐프 인기 속 현재 트렌드는

-폭군의 쉐프 인기 속 트렌드 분석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정책학/문화정보학 박사, 평론가) 송중기, 이성민 주연의 드라마 ‘재벌집 막내 아들’은 미래 정보 통제감의 심리적 쾌감으로 크게 성공한 사례였다. 미래 정보 통제감이란 미래에 일어날 일을 알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모든 의사결정에서 우위를 보이는 현상이다. 드라마 ‘재벌집 막내 아들’은 진도준(송중기)이 1980년대로 돌아가 정확한 미래 예측을 하면서 벌어지는 스토리의 전개가 중심이었는데 사실 미래 예측이라기보다는 그가 과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성공과 승리를 할 수 있었다. 사업의 확장은 물론 주식 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부동산 투자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이미 지난 과거의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위기가 올 것이..

세로토닝 트렌드

도파밍 보다는 세로토닝이 트렌드?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정책학/문화정보학 박사, 평론가) 우리가 스스로 움직이고 있다는 생각을 해도 보이지 않은 인체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호르몬이다. 우리의 대뇌와 의지가 아니라 호르몬이 작동하거나 요동쳐서 일어나는 행위들이 많다. 심지어 호르몬이 없거나 극히 적어도 부정적인 인체현상이 일어나는데 우리 의식만 이를 알지 못한다. 미디어 환경이 점점 더 일상으로 파고들면서 도파밍(Dofarming)이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띄게 되었다. 도파밍은 도파민이 많이 분비될 수 있는 행위를 이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도파민에 파밍(Farming)이라는 게임 분야의 단어가 결합했다. 게임에 빠져드는 일련의 콘텐츠 중독 현상을 포괄한다. 원래 뇌신경전달물..

K 등산과 K 박물관 입장료의 외국인 차등?

K 등산과 K 박물관 입장료의 외국인 차등? 글/김헌식 (중원대 특임 교수, 평론가, 정책학/문화정보학 박사) 최근 외국인들 사이에서 등산이 유행인데 특히 국립공원 등산에 나서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전국 22개 국립공원을 찾은 외국인 탐방객은 2021년에 비해 2024년 약 18배 늘었다. 서울의 북한산국립공원만이 아니라 우리 나라에는 시도마다 국립공원을 하나이상 갖고 있어서 접근성이 뛰어난 점도 있고 한국만의 독특한 등산 문화가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SNS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찾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김밥을 도시락으로 지참하거나 등산 후 막걸리에 파전까지 곁들이기도 한다. 등산이 선호되는 이유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외국인이 많이 방문하는 배경과 맞물리는 점이 있다. 즉 국립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