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12월 5일] 앨리 효과 | 기사입력 2008-12-05 03:21 1920년대 미국에서 인구론 연구 기초실험의 하나로 초파리 개체수 증가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다. 바나나 조각을 먹이로 넣어 둔 병 속에 초파리를 집어넣고 개체수 증가를 살폈다. 처음에는 급격하게 개체수가 늘어났지만 점차 증가율이 둔화했다. 단순한 먹이 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고 보고 먹이를 더 넣거나 새 병으로 초파리를 옮기는 등의 추가 실험을 했지만 대체로 S자 곡선을 그리는 개체수 증가의 경향은 변하지 않았다. 생태학의 '밀도효과'(Density Effect), '밀도의존성'(Density Dependence)은 이렇게 해서 발견됐다. ■동물의 개체군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개체수가 늘어나면 어떤 형태로든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