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심리경영 이론과 사고법 100 112

'밀도효과'(Density Effect), '밀도의존성'(Density Dependence) 그리고 앨리 효과

[지평선/12월 5일] 앨리 효과 | 기사입력 2008-12-05 03:21 1920년대 미국에서 인구론 연구 기초실험의 하나로 초파리 개체수 증가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다. 바나나 조각을 먹이로 넣어 둔 병 속에 초파리를 집어넣고 개체수 증가를 살폈다. 처음에는 급격하게 개체수가 늘어났지만 점차 증가율이 둔화했다. 단순한 먹이 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고 보고 먹이를 더 넣거나 새 병으로 초파리를 옮기는 등의 추가 실험을 했지만 대체로 S자 곡선을 그리는 개체수 증가의 경향은 변하지 않았다. 생태학의 '밀도효과'(Density Effect), '밀도의존성'(Density Dependence)은 이렇게 해서 발견됐다. ■동물의 개체군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개체수가 늘어나면 어떤 형태로든 억제..

합리적 무시이론

공공선택이론을 만든 경제학자가 제임스 M 뷰캐넌이다. ▲뷰캐넌의 연구로 정부의 만성적인 재정적자 외에 많은 공공부문 궁금증이 풀렸다. 이익집단이 늘고 있는 이유, 정부부처가 비대해지는 이유, 정부가 소비자보다 기업을 보호하려 드는 이유 등이 그것이다. 예를 들면 이익단체가 느는 이치는 이렇다. 소수라도 똘똘 뭉쳐있다면 정치인에게 예산 혹은 정책로비 등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산만하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대중보다 힘이 세다는 얘기다. 그런데 소수가 로비에 성공하면 이익을 챙긴다. 다수의 대중은 소수의 이익만큼 피해를 입는다. 그러나 다수이기 때문에 소수의 이익에 비해 각각의 피해의 정도는 작다. 이는 다수가 부당하게 누리는 소수의 혜택과 자신의 피해에 침묵하는 이유다. 뷰캐넌과 경제학자들..

롤리타 신드롬 자료

[해외이슈] ‘롤리타’에 빠진 일본 | 기사입력 2009-09-01 00:00 | 최종수정 2010-03-15 14:26 [신동아] 2009년 8월4일 일본 도쿄의 그랜드프린스호텔 아카사카. 신문, 잡지, 방송 등 언론 취재진이 몰려든 가운데 호텔은 북새통을 이뤘다. 이날 이 호텔에서 ‘전일본 국민적 미소녀 콘테스트’의 본선이 열렸다. ‘전일본 국민적 미소녀 콘테스트’는 일본을 대표할 만한 아름다움을 지닌 소녀를 선발한다는 취지의 대회다. 올해 이 대회는 12회째를 맞았다. 대회에 대한 일본인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대회를 후원하거나 협력한 기업 프로필도 화려했다. 아사히TV와 영화사인 도에이를 비롯해 소프트뱅크, 음반사인 에이벡스, EMI뮤직 저팬, 워너뮤직 저팬 등 11개 기업이 후원했다. 협력사..

'립스틱 효과(lipstic effect)' 사례

불경기면 여성이 몰두하는 것은… | 기사입력 2012-07-06 17:48 광고 불경기가 지속되면 이성을 사로잡기 위해 여성은 더욱 외모관리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미국 마인드풀머니 등 복수의 외신보도에 따르면 미국 포트워스 소재 텍사스크리스천대학 연구팀이 동일한 성비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불경기를 가정해 몇가지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를 조사한 결과 이와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기에는 실제 소비에 관한 자료들도 첨부됐다. 경기침체의 조짐이 보이면 여성들은 화장품 등 미용상품에 대한 구매욕이 증가했으며 해당 상품의 가격은 소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를 '립스틱 효과(lipstic effect)'를 증명하는 사례라고 발표했다. 립스틱 효과란 경제가 둔화되면 상대적으..

던바의 법칙, 던바의 수

7명만 거치면 전 국민이 ‘아는 사람’ | 기사입력 2005-02-24 20:25 | 최종수정 2005-02-24 20:25 [동아일보] 우리가 친하게 지낼 수 있는 사람의 숫자는 얼마나 될까. 사회집단의 크기를 말할 때 항상 등장하는 것이 ‘던바의 법칙’이다. 영국의 인류학자 로빈 던바는 사회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모임을 유지하기 위해서 더 큰 두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 초 그는 원숭이나 침팬지 같은 영장류 30종을 대상으로 복잡한 사고를 담당하는 뇌 영역(대뇌 신피질)이 클수록 알고 지내는 집단의 크기도 커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관계를 인간의 두뇌에 적용하면 인간이 유지할 수 있는 집단의 크기가 150명이라고 나온다. 흥미롭게도 던바는 호주, 뉴기니, 그린란드 등의 원시부족을 조..

핵심역량이론

자원기반이론(Resource Based Theory), 핵심역량이론(core competence theory) Terms2008/12/07 00:29http://blog.naver.com/whbear/120059605343동일한 환경 하에서도 개별기업의 성과 창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산업의 매력도 등 환경적 요인 보다는 기업 내부의 고유한 자원(역량)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 1980년대 초반에 등장-- 자원이란 희소성, 모방 불가능성, 대체 불가능성 등의 특성을 보유한 조긱 내 유-무형의 경영자원으로 인력, 기술, 업무프로세스, 조직무화등을 포함-- 자원기반이론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게리 하멜, 프라할라드의 핵심역량이론(core competence theory)으로 발전 핵심역량이론(core com..

자원거점이론(Resource-based Theory)

자원거점이론 시각에서 지적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자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간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llectu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erspective of Resource-based View :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ts 문윤지(Moon Yun-Ji), 김효근(Kym Hyo-Gun) 저 pp.1923~1952 (30pages) 간행물명 : 대한경영학회지 권/호 : 大韓經營學會誌 第20券 第4號 / 2007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경영학 파일형식 : PDF 요약 Ⅰ. 서론 Ⅱ. 자원거점이..

타임 슬립(time slip)

SF타임슬립 http://blog.naver.com/efremov?Redirect=Log&logNo=100128221525 [문화비평]우디 앨런의 ‘파리 홍보’ 영화 26면2단| 기사입력 2012-07-27 21:39 | 최종수정 2012-07-28 03:18 우디 앨런 감독의 최신작 는 다층적인 텍스트다. 우선 이 영화는 우디 앨런이 소위 ‘먹물’들을 위한 영화를 만드는 데 비상한 재주가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영화는 약혼자와 함께 파리로 여행을 떠난 극작가 길이 매일 밤 자정을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1920년대의 파리로 꿈같은 시간여행을 떠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여정에서 길은 당시 파리의 문화계 인사들을 두루 조우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술집이나 파티장에서 헤밍웨이와 스콧 피츠제럴드, 피카소..

언더도그마

인간은 유명인 불행에서 기쁨을 느낀다? 27면| 기사입력 2012-03-23 10:01 약자는 고결, 강자는 비난대상 개천서 용 된 언더도그는 응원 유명인 되면 바로 등 돌려 부조리한 인간의 이중성 해부 #이라크 전쟁 당시 한 시민단체가 이라크에서 반전시위를 하던 중 이라크군에 인질로 잡혔다. 이들은 자신들이 비판했던 다국적군에 의해 구출됐는데도 사건의 근본원인은 다국적군의 불법적인 이라크 점령에 있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심지어 동료 중 한 명이 살해됐는데도 말이다. #2007년 사우스 플로리다대학의 조셉 반델로는 간단한 실험을 하나 했다. 대상자를 A, B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양측의 시각으로 설명한 한 쪽짜리 글을 읽게 했다. 그 뒤 A그룹에는 이스라엘이 커 보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