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국가 만들기 267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확진자 `아웃팅` 논란...성소수자 편견 조장 보도가 문제"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코로나19 클럽 확진자 보도와 관련한 문제점에 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클럽을 방문한 20대 확진자를 통한 집단감염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 동선을 공개한 걸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건가요? ▶지자체와 정부가 공식적으로 보도하기 전에 언론이 먼저 경쟁적으로 보도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5월1일을 전후로 이태원의 클럽을 방문했다..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문화예술계 꾸준한 작품 활동으로 세월호 계속`기억`"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세월호 6주기를 맞아 계속되는 문화예술계의 기억, 작품활동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우선 블랙리스트로 지난 정권에 탄압을 받았던 연극계는 여전히 세월호를 무대에서 기억하고 있죠? 어떤 작품들이 있습니까? ▶코로나 19 때문에 공연계 특히 작은 규모의 연극들이 더 어렵습니다. 그런 가운데 이라는 이름으로 모두 10개 공연이 혜화동1번지, 연우소극장, 성북마..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영화예술, 극장업 지원 대책...어떻게 해야할까"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영화 관람객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지고 심지어 극장 영업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죠? ▶코로나19 확산으로 극장의 관람객 수가 급감하고 있고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가 일부 극장 영업 중단 등의 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1∼16일 극장을 찾은 전체 관객은 117만 1749명입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13만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2미터 거리 준수 소규모 공연장, 인센티브 지원 부여해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문화생활 방역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대형 공연장의 출연 배우가 확진자로 밝혀지기도 해서 떠들썩했는데, 이후 공연장을 중심으로 어떤 조치가 이뤄지고 있는지요? ▶공연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한 건 처음입니다. 그것도 비교적 안전하다는 큰 공연장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월드투어의 앙상블 배우가 확진 판정을 받았고 공연팀 외국인도 추..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온라인 그루밍 범죄 막으려면 초기 참여 행위부터 처벌해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n번방 사건과 온라인 그루밍 대책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유엔이 아동 성폭력 예컨대 온라인 그루밍의 위험이 증가할 거라며 이에 대한 긴급 조치를 각국 정부에 촉구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요? ▶유엔 인권최고대표실(OHCHR)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온라인 사용자가 늘어 사이버 폭력이 급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선 것입니다. 유엔 인권..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문화예술인 병역특례 형평성 논란…`마일리지제`로 개선?"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박사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어제 정부가 `병역 대체복무 제도 개선방안`을 확정했는데, 논란이 되었던 대중가수들의 병역 특례는 받아들이지 않았죠? 어떤 이유를 들었나요? ▶한류로 기여한 대중음악 가수들에게 병역 대체복무를 허용하자는 제안이 있어 왔는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폐지까지도 검토되었던 예술·체육요원 대체복무 제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예술·체육요원은 특정 대회..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코로나19 문화계 피해 확산 속 양극화 뚜렷"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문화계 양극화 현상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문화예술계 중에서도 특히 공연계 예매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는데, 어느 정도인가요? ▶지난 달과 이번 달 통계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지난달 1월 넷째 주 44만건이었고, 주간 예매 건수는 다섯째 주 43만건이었습니다. ..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음원 사재기` 유발하는 실시간 차트 없애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 김헌식 박사와 함께합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한 가수가 구체적인 실명을 거론하며 음원 사재기를 문제 삼은 걸 두고서 찬반논란이 있다면서요? ▶그렇습니다. 2013년 이후 계속 사재기 의혹이 제기되었고, 많은 이가 음원 사재기 문제를 제기하며 수사까지 촉구했지만 실체와 사례는 잘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줄기차게 지속되었던 음원 사재기는 지난해 닐로ㆍ숀 등 일부 중소 제작사 가수의 음원이 이상 급등 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기생충` 만든 나라의 영화 산업구조가 불평등...부끄러운 일"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서종빈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이른바 `포스트 봉준호법`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영화인 1325명이 영화산업의 구조 개선을 담은 포스트 봉준호법에 서명했다고 하는 데 포스트 봉준호 법이란 뭔가요? ▶온라인으로 많은 영화인들이 서명운동을 했습니다. 이른바 ‘포스트 봉준호법’은 대기업의 영화 배급·상영 겸업, 특정 영화 스크린 독과점, 독립·예술영화 지원 제도 등 영화계의 모순에 관한 개선책을..

[문화로 읽는 세상] 김헌식 박사 "혐오와 비방 넘쳐나는 포털 댓글과 실검 제한, 긍정적 변화"

○ 방송 :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 진행 : 윤재선 앵커 ○ 출연 : 김헌식 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전문] 문화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대안을 생각해보는 김헌식 박사와 함께 포털사이트의 댓글과 실시간 검색어 조작 논란 등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평론가님,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총선이 40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포털사이트 댓글과 실시간 검색어 조작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데요.대표적인 게 `차이나 게이트`라고 하던데, 이게 뭔가요? ▶중국인 혹은 중국인 유학생, 이주동포-조선족들이 네이버·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게시글·댓글 작성, 공감수 조작 등을 통해 대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