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심리경영 이론과 사고법 100 112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Ⅰ. 서론 동기부여의 과정이론이란 동기이론 가운데 동기유발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을 말한다. 과정이론은 인식절차 이론(cognitive process theories of motivation)이라 부르기도 하며, 내용이론이 욕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이라면, 과정이론은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나 인식(cognition) 혹은 직무환경 요인과 상황 등에 초점을 둔다. 과정이론은 이러한 인식 요인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 관심의 초점을 둔다. 다시 말하면 인식 변수(cognitive variables)가 동기유발에 '어떻게, 그리고 왜' 영향을 미치는지에 많은 관심을 두며, 이러한 변수를 확인하는 것 외에 그러한 변수 간의 관계나 교류 절차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

‘메트컬프 법칙’

SNS기업 성장법칙의 부활B1면| 기사입력 2013-09-30 03:06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 [동아일보] 사실상 공짜로 서비스를 하지만 1억 명 이상의 회원 수를 자랑하는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의 가치가 올해 들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페이스북 효과’로 불리는 이 같은 현상을 보면서 글로벌 인터넷 업계는 “한동안 잊혀졌던 ‘메트컬프 법칙’이 부활했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인 사례는 10억 명의 가입자를 지닌 미국의 페이스북이다. 페이스북의 주가는 27일(현지 시간) 미국 나스닥에서 주당 51.2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1247억 달러(약 130조 원)에 이른다. 지난해 9월 주가가 주당 17달러까지 떨어졌을 때와 비교하면 1년 만에 ..

‘베르테르 효과' 데이터

자살 6년만에 줄었다A14면| 기사입력 2013-09-26 03:08 연예인 모방자살 줄고 맹독성 제초제 유통금지 효과 10만명당 자살자수 작년 11.8% 감소… OECD 국가중 1위 오명은 못벗어 [동아일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수가 6년 만에 처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예인 자살이 줄며 ‘베르테르 효과(모방자살)’가 약해졌고 맹독성 제초제의 유통이 금지된 것이 자살률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한 사망자 수는 총 1만4160명으로 전년 대비 11.0% 줄었다.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은 28.1명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자살률이 줄어든 건 2006년 이후 처음이다. 2002년 17..

▲동굴인의 법칙(Caveman’s Law)

▲동굴인의 법칙(Caveman’s Law)=미치오 카쿠박사의 동굴인의 법칙도 있다. 이는 모든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첨단기술을 가지고 있더라도 우리의 원시조상이 가지고 있는 욕망과 부딪칠 경우 인간은 항상 원시적 욕망에 굴복하게 된다는 법칙이다. 앞서의 3개 법칙의 물결을 타면서 향후 10년간의 기술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것은 순전히 이 동굴인의 법칙 때문이다. 단말기가 훨씬더 강력해지고, 훨씬더 자연스러워지게 되지만 결국 모두 사라지게 될 것이다. 효율적인 컴퓨팅은 이전보다 훨씬더 전문가 의존선은 떨어지고 오히려 욕망의 기능에 더욱더 의존하게 된다.

정통경제학 신화 깨뜨리는 ‘발칙한’ 상식

| 기사입력 2008-10-17 11:30 | 최종수정 2008-10-17 14:00 미국 로체스터대 경제학 교수인 저자는 경제학의 ‘비용’과 ‘편익’, ‘스필오버’(spillover·흘러넘침, 파급), ‘인센티브’ 등의 원칙들을 통해 우리가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뒤집어 놓는다. 이를테면 ‘문란한 성생활이 에이즈를 확산시킨다’, ‘구두쇠가 사이 나쁜 이웃을 만든다’는 것은 상식으로 통한다. 이같은 상식에는 사람들의 자족적인 도덕관념이 깃들어 있다. 저자는 그러한 경제 외적인 관념이나 시장을 왜곡하는 불필요한 개입을 걷어내고 ‘순수하게’ 경제학적으로 상식을 바라 볼 것을 주문한다. 하지만 그같은 도덕관념 등을 걷어내면 ‘상식’에서 어긋나 보이고 그래서 독자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More Sex Is..

허쉬만이 1970년 126쪽에 달하는 필생의 역작 ‘이탈, 항의, 충성(원제: Exit, Voice and Loyalty)

26. March 2013, 7:59:46 KST불만 있을 때 ‘이탈’할 것인가, ‘항의’할 것인가By Roger Lowenstein지금으로부터 40년 전 알버트 오토 허쉬만이라는 경제학자는 학교의 질적인 격차가 점차 벌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허쉬만은 공립학교의 질이 떨어지면 부유층은 자녀들을 사립학교로 전학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쉬먼은 이 같은 선택에 ‘이탈(exit)이라는 용어를 붙였다. 한편 남아있는 자녀들의 부모는 학교 이사회에 참석해서 문제 제기를 하거나 학교 측에 서한을 보내는 등 ‘항의(voice)’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려고 시도할 것이다.Ellen Weinstein대체로 시장에서는 ‘이탈’이 대세인 반면, 정치에서는 ‘항의’가 주류를 이룬다.그런데 이렇게 항의하는 쪽은 두 가지 불..

뉴요커 효과

[A style]뉴요커 패션리더는 명함-수첩의 格이 다르다 | 기사입력 2012-11-16 03:09 | 최종수정 2012-11-16 09:43 조엘 킴벡의 TRANS WORLD TREND… 개인용 문구의 세계 [동아일보] 《아직 회사에서 제작해 주는 평범한 명함만 사용하고 있는 당신이라면, 진정한 럭셔리를 경험하지 못했다 할 수 있다. 세계에서 몰려든 다양한 사람들이 한데 모인 뉴욕에선 자신의 신분과 개성을 드러내는 개인용 문구(Personal Stationery)가 고급 취향을 드러내는 수단의 정점으로 꼽힌다. 그래서 최근 몇 년 새 뉴욕에선 개인의 취향과 품격을 한눈에 드러내 주는 개인용 문구를 제작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뉴욕 상류층이 오랫동안 애용해 오던 최고급 문구 부티크에 부쩍 패션 피플의..

'패션의 정치학'

중동의 스카프는 언제 글로벌 패션이 되었나 | 기사입력 2007-10-24 15:15 광고 중동과 평화 ⑩ [평화바닥 염창근] 중동 스카프 패션 날이 쌀쌀하다. 하루가 다르게 추워지는 날씨 탓인지 목도리와 스카프를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 중에는 중동의 아랍식 스카프를 어깨에 두른 사람들도 종종 본다. 한달여 전에 홍대 인근을 걷다가 이 스카프를 파는 노점을 봤을 때만 해도 이런 걸 판다는 것에 놀라고 말았는데 요즘 이 스카프를 두른 사람들을 너무 쉽게 목격하는 일은 잠시 생각을 머물게 한다. 요즘 인기가 있는 스카프는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 중동 이슬람권 남성들이 주로 어깨나 머리에 두르는 흑백의 체크무늬 스카프(쉬마그라 불리는 스카프)인 것 같다. 이런 것들을 어디서 구해왔는지 궁금하면서도 나는 중..

'매력 자본'

'매력'을 돈으로 계산하는 세상 | 기사입력 2013-02-13 15:43 신간 '매력 자본'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매력적인 외모를 갖추면 실제로 성공에 도움이 될까. 주관적인 가치인 '매력'이 객관적인 수치인 '자본'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한 책 '매력 자본'(원제 Honey Money:The Power of Erotic Capital)이 나왔다. 영국 런던 정책연구센터 연구위원인 캐서린 하킴이 기존 논문에 살을 붙여 2011년 펴낸 책을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저자가 규정한 매력에는 신체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두루 포함된다. 아름다운 얼굴과 몸매, 세련된 패션 같은 외적인 미(美)뿐만 아니라 사교술과 매너 같은 사회적 기술을 아우른 것. 이러한 매력은 현대 사회에서 경제 자본, 문화 ..

조직 이론 69

제1편조직의 구조 1. Max Weber의 관료제 이념형 2. Henry Mintzberg의 조직구조론 3. Alfred D. Chandler의 전략과 구조에 관한 이론 4. Thomas H. Hammond의 조직구조 연구 5. Theodore J. Lowi의 정부기관 유형론 제2편조직의 관리과정 6. Henri Fayol의 산업 및 일반관리론 7. Chester I. Barnard의 관리기능이론 8. Rensis Likert의 관리시스템 Ⅳ 9. Peter F. Drucker의 주요 저술과 관리관 10. Gary A. Yukl의 조직에서의 리더십 11. Fred Fiedler의 상황적응리더십이론 12. Gary Miller의 관리자의 딜레마 13. Herbert A. Simon의 의사결정이론 14.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