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70

뉴진스 불복 어떻게 봐야 하나.

-K팝 청소년 아티스트의 요구에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정책학/문화정보학 박사) 소속사나 법원의 합의 권고도 거부하는 걸 그룹 뉴진스 멤버들의 행보는 의아스럽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하다. 그들의 마음이 어떨지는 짐작할 수는 있지만, 법적으로는 불리한 판단과 결정,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법적인 테두리에서만 그들의 행보를 평가할 수만은 없다. 그들은 아티스트이면서 청소년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들은 K팝 산업 전체는 물론 정부 그리고 국회, 사법부도 고민해야할 점이다. 우선 쟁점을 통해 문제의식을 공유해 볼 수 있다. 걸그룹 뉴진스 멤버들이 법원 가처분 결정에 불복 즉시항고 했으나 인용되지 않았다. 법원 가처분 내용은 독자활동금지였다. 지난해 11월 뉴진스 멤버 다섯..

트와이스 5세대 걸그룹의 롤모델이 된 이유

-단계적 확장의 트와이스가 지닌 K 팝 가치 지난 4월 28일 5세대 걸그룹 'HITGS(힛지스)'가 정식 데뷔하며 그들의 롤모델이 ‘트와이스’라고 대답해 눈길을 끌었다. 그 이유로 다채로운 컨셉의 소화가 자유자재인 점을 꼽았다. 롤모델로 ‘블랙핑크’가 아닌 ‘트와이스’가 꼽힌 것은 이례적으로 생각 될 수 있었다. 최근 K 팝에서 개별 활동이 더 강해진 자율형 아티스트 그룹이 이상적으로 생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론 순차적 확장을 통한 장수돌의 면모를 보인 트와이스의 성공 모델이 여전히 한국형 아이돌 그룹에게는 유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트와이스 그린 궤적을 정리하는 것이 5세대 걸그룹에게 유의미할 것이다. 걸그룹 ‘트와이스’는 2023년 1월, ‘빌보드 위민 인 뮤직 어워즈’의 '브레이크..

'노무사 노무진' 속 이재명 정부 노동 인권 미래는

-태안화력 발전소 김용균·김충현 노동자 죽음을 대하며 글/김헌식(정책학/문화정보학, 중원대학교 특임교수) “이제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 회사에서 쓰는 노동자는 그 사람이 실수로 죽었거나 실수 아닌 거로 죽었거나 화약 옆에 가면은 죽기 쉬운 겁니다. 증인이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는 노동자들이 화약 옆에 가야 하고 기계 옆에 가야 합니다. 기계 옆에 화약 옆에 가는 노동자는 아무리 조심해도 죽을 수 있습니다.” 이 말은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1988년 11월 9일 청문회에서 유찬우 풍산금속공업(주) 회장에게 지적한 것이다. 드라마 ‘노무사 노무진’을 보면서 떠올린 말이다. 청문회 주요 내용은 5공화국 권력과 유착한 대기업의 행태를 질타한 것이지만 노동 현장의 안전 문제도 같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텐센트 SN 지분 인수 차이나 머니 습격?

-진정한 케이 팝을 위한 경영의 대안 고민해야. 글/김헌식(정책학/문화정보학, 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텐센트의 하이브 보유분 SM 지분 인수는 대체로 긍정적인 점들이 부각 되었다. 그 와중에 ‘차이나 머니’의 침입이라는 부정적인 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긍정과 부정에 관해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을 볼 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긍정과 부정의 양쪽을 살피면서도 놓친 부분도 여기에서 지적해야할 듯싶다. 우선 텐센트의 하이브 보유분 SM 지분 인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견해는 세 가지다. 하나는 K 팝 음원 유통이 중화 대륙에서 더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란 것. 두 번째는 앞으로 한한령으로 대규모 콘서트가 열릴 것이라는 점. 다른 마지막은 대형 콘서트는 아니어도 팬 미팅이나 굿즈, 팝업 등 소규모 행사와 이벤트..

오징어 게임 3 그리고 이재명 정부 성공 요건

-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을 다시 생각한다. 글: 김헌식(정책학/문화정보학, 중원대 특임교수) 2025년 6월 ‘시즌 3’을 통해 오징어 게임 시리즈는 최종 완결된다. 이 오징어 게임 시리즈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그만큼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다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오징어 게임’은 비단 상금을 놓고 벌이는 서바이벌 게임만을 의미하지는 않아서 생각하고 느낄 점이 많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는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은유하고 있다. 게임이라고 가볍게 생각할 수 있지만 죽음을 배태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주식 시장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서 자기 돈만이 아니라 신용으로 대출을 받아 주식을 살 수도 있다. 중간에 그만두고 싶은 사람은 얼마든지 그만둘 ..

칸 영화제 0편 그래도 희망을 다르게 꾼다..

-애니메이션 등 새로운 장르와 신예들에게 기회를 많이 주어야 글/김헌식(평론가, 문화정보학 박사. 평론가) 5월 13일에 열리는 제78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우리 장편영화 작품이 0편 초청되었다는 소식은 충격이었다. 더구나 경쟁부문은 물론이고 비경쟁 부문(감독, 비평가 주간)에서도 아름을 올린 작품이 한편도 없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 경쟁부문에 초청되지 못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고, 비경쟁 부문은 1999년 이후 26년 만의 일이었기 때문에 더욱 충격적이었다. 물론 이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기도 했다. ‘언제적 박찬욱 봉준호 홍상수냐’라는 말이 나온 지 꽤 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의 작품 이외에는 3대 영화제에서 보기 드문 일이기도 했다. 새로운 신예 감독들과 세대교체에 실패했는데 여기에는 두..

카테고리 없음 2025.04.27

K팝 위기인가, 거품이 걷히는 건가.

-브랜드 가치의 훼손이 왜 왔는지 봐야 글/김헌식(중원대,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평론가) K팝의 위기론은 언제나 있었다. 그런 위기 속에서 성장에 온 것도 사실이다. 다만 지금의 K팝의 위기는 적어도 개별 그룹이나 아티스트, 콘텐츠에서 비롯한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그것은 문화 콘텐츠 소비관점에서 보자면 근본 배경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 상품의 경제성이나 실용성과는 달리 문화 콘텐츠는 브랜드 가치를 포함하는 문화적 향유 가치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흔한 말로 힙해야 한다. 이 힙이라는 것이 단지 멋지고 간지가 나는 면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시대정신을 이끌어가는 미래지향적 가치가 최소한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K팝은 위기에 봉착했다. 우선 K팝의 위기론이 거론되는 맥락에서 두 가지 현상..

안무저작권은 한국에만? 이유가 있다

-음악단체들 "해외선 수익배분 안 한다"지만 댄스음악인 K팝 특성상 ‘안무 저작권’ 강화해야글 김헌식(중원대학교 교수,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미래학회 연구학술이사)년 1월 22일 구글 최고 책임자 니케시 아로라(Nikesh Arora)는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유튜브 광고만으로 8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벌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수익을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강남 스타일의 댄스, 말춤이었다. 하지만 정작 말춤의 안무가 이주선 씨는 기본 안무비와 싸이가 챙겨준 보너스 외에는 추가 수익이 없었다. 유튜브 조회 1회당 1원씩만 받아도 수백억이 됐을 텐데 말이다. 더군다나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등 많은 콘텐츠에서 이 춤을 무료로 사용했다. 유튜브의 조회 수 카운팅 시스템을 완전히 바꾼 ‘강남 ..

선거 책 출간의 장단점, K팝 팬덤과 비슷?..

글/ 김헌식(중원대학교, 평론가) 조기 대선 바람이 불면서 출판가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바로 대선 주자들이 자신의 책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김문수, 김동연, 한동훈, 홍준표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읽지 않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들의 책 출간은 인쇄업, 제지업, 서점, 출판사 등에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 더구나 나들이 다니기 좋은 계절은 출판의 비수기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이런 정치인의 책 출간은 순기능도 있고, 그 이면에 전제되어야 할 조건도 있는 게 현실이다. 정치인에게 대체로 책을 낸다는 것은 대선 주자로 완주하겠다는 뜻일 수 있다. 다만, 이번에 오세훈 서울 시장이 중도에 사퇴하면서 이례적인 사례를 만들어내긴 했다. 요즘에는 SNS와 유..

손흥민 제니에 강요? 셀럽 기부 비판 전제 조건 알아야

-정보경제학 관점의 맥락 이해 필요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 교수,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평론가)  인기스타나 셀럽들의 기부 행위에 대해 가해지는 설왕설래의 현실을 보면서 정보의 결핍과 불확실성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지 않나 싶다. 특히 그들에 대한 정보를 일반적으로 알기 힘들기에 여러 가지 사회적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보에 대한 결핍과 왜곡에 관해서 정보비대칭이 발생해서다. 이를 설명하려는 것이 정보경제학이라는 연구 분야이다.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정보경제학의 이론에 관해서 설명이 필요하다. 정보경제학(information economics)에서 대표적인 정보의 비대칭 이론에는 크게 세 가지가 속하는데 레몬시장 이론(Lemon Market), 신호(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