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식 칼럼>한국은 제노비스 신드롬의 사회인가
2010.07.02 11:28
[김헌식 문화평론가]영화 < 에코 > 에서 어머니의 허름한 아파트에서 지내던 바비(제시 브래드포드 분)는 도움을 요청하는 여성의 비명소리를 듣게 된다.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지 그 비명소리는 매일 계속된다. 이 영화는 '제노비스 신드롬'에서 모티브를 착안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어린이 성폭행이나 여타 폭행치사 사건에서 제노비스 신드롬을 읽어내는 매체의 보도가 있었다. 이러한 접근은 결국 시민들의 비정함을 질타하게 마련이다. 제노비스 신드롬이란 범죄 현장을 본 사람들은 많았지만 신고를 하거나 도와주려는 사람이 없는 현상을 말한다. 1964년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한 남성 범죄자에게 밤새 여러 차례 칼에 찔려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녀를 목격한 38명의 주민들은 신고하지 않았고, 결국 그녀는 숨지고 말았다. 이러한 방관자 현상을 제노비스 신드롬이라고 이르기도 하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이 < 뉴욕타임스 > 를 통해 알려지면서 미국 사회는 커다란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수십명의 사람들이 공개적인 곳에서 참혹한 광경을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연하게도 미국시민들의 몰인정함에 비판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곧 두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일정한 심리적 법칙의 소산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뉴욕대의 존 달리, 컬럼비아대의 빕 라타네 교수는 목격자가 많아질수록 책임감 분산효과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즉 목격자가 많을수록 자신이 아니어도 다른 사람들이 신고했을 것이라고 사람들은 생각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 광경을 목격한 사람이 자신이 유일하다고 생각할수록 신고를 더 잘했다. 그들의 실험에서 자신 말고 도와줄 다른 사람이 있다고 할 때 70% 사람이 도와주지 않았고, 자신 말고 도와줄 사람이 없다고 할 때 85%가 도와주었다.
사람들에게서 방관자 효과가 일어나는 또 다른 이유는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 명확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여러 실험에 따르면 약하고 병에 걸린 사람이라는 확실한 외관상의 표식이 있으면 사람들은 더 잘 도와 주었다. 또한 사람들이 잘 도와주지 않으려는 이유는 자신이 과연 도움이 되는 상황인지 파악하기 모호하기 때문이었다. 사실 제노비스 신드롬의 진실은 시민들의 몰인정함이 아니라 사회 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심리 법칙에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심리학 실험의 결과에 따라 구조의 요청 원칙이 바뀌게 된다.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에게도 중요한 지침이 내려진다. 위험한 상황에 빠졌을 때 무턱대고 도와달라고 하는 것 보다 특정한 사람을 가리키거나 호명하는 것이다. 손가락으로 한사람을 가리키거나 '빨간 옷을 입은 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도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도 중요하다. 신고를 하라거나 직접 자신을 도와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이성적인 요청은 위험에 빠진 이들에게 무리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무턱대고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한편으로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른 비극적 원인도 있었다. 도시화의 진전에 따른 익명성은 분산효과를 더욱 부추긴다. 하지만 이 역시 그것은 도시화 속에 포획되어 있는 인간의 딜레마를 말하는 것이지, 인간성 자체의 타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인간은 환경과 상황에 지배를 받는 것이고, 그것이 결국 인간성이라는 평가적 요소에 까지 쉽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실 이러한 논의에는 치명적인 심리학의 한계도 있다. 도와줄 사람이 옆에 있을 경우 70%의 사람이 도와주지 않았지만, 나머지 30%의 사람은 도와주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실험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는 더 낮은 비율을 보이겠지만, 분명한 건 그러한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2001년 겨울 일본 지하철에 빠진 일본인을 구하기 위해 뛰어든 이수현은 바로 30%에 해당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모든 것을 그 소수의 사람들에게 맡길 수는 없다. 소수의 사람이 없다고 해서 그것을 비관적으로만 볼 이유는 적다.
다만 모든 것은 인간성이나 비정함에 그 원인을 두는 것은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불행하고 끔찍한 사건들에서 신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민들의 인간적 비정함을 공격하는 것은 타당하지만은 않다. 끊임없이 소수의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게 하는 것도 물론이거니와 근본적인 치안대책과 우리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데 종합적인 중지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더 급선무일 것이다.
최근 어린이 성폭행이나 여타 폭행치사 사건에서 제노비스 신드롬을 읽어내는 매체의 보도가 있었다. 이러한 접근은 결국 시민들의 비정함을 질타하게 마련이다. 제노비스 신드롬이란 범죄 현장을 본 사람들은 많았지만 신고를 하거나 도와주려는 사람이 없는 현상을 말한다. 1964년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한 남성 범죄자에게 밤새 여러 차례 칼에 찔려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녀를 목격한 38명의 주민들은 신고하지 않았고, 결국 그녀는 숨지고 말았다. 이러한 방관자 현상을 제노비스 신드롬이라고 이르기도 하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이 < 뉴욕타임스 > 를 통해 알려지면서 미국 사회는 커다란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수십명의 사람들이 공개적인 곳에서 참혹한 광경을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연하게도 미국시민들의 몰인정함에 비판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곧 두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일정한 심리적 법칙의 소산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뉴욕대의 존 달리, 컬럼비아대의 빕 라타네 교수는 목격자가 많아질수록 책임감 분산효과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즉 목격자가 많을수록 자신이 아니어도 다른 사람들이 신고했을 것이라고 사람들은 생각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 광경을 목격한 사람이 자신이 유일하다고 생각할수록 신고를 더 잘했다. 그들의 실험에서 자신 말고 도와줄 다른 사람이 있다고 할 때 70% 사람이 도와주지 않았고, 자신 말고 도와줄 사람이 없다고 할 때 85%가 도와주었다.
사람들에게서 방관자 효과가 일어나는 또 다른 이유는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 명확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여러 실험에 따르면 약하고 병에 걸린 사람이라는 확실한 외관상의 표식이 있으면 사람들은 더 잘 도와 주었다. 또한 사람들이 잘 도와주지 않으려는 이유는 자신이 과연 도움이 되는 상황인지 파악하기 모호하기 때문이었다. 사실 제노비스 신드롬의 진실은 시민들의 몰인정함이 아니라 사회 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심리 법칙에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심리학 실험의 결과에 따라 구조의 요청 원칙이 바뀌게 된다.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에게도 중요한 지침이 내려진다. 위험한 상황에 빠졌을 때 무턱대고 도와달라고 하는 것 보다 특정한 사람을 가리키거나 호명하는 것이다. 손가락으로 한사람을 가리키거나 '빨간 옷을 입은 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도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도 중요하다. 신고를 하라거나 직접 자신을 도와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이성적인 요청은 위험에 빠진 이들에게 무리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무턱대고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한편으로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른 비극적 원인도 있었다. 도시화의 진전에 따른 익명성은 분산효과를 더욱 부추긴다. 하지만 이 역시 그것은 도시화 속에 포획되어 있는 인간의 딜레마를 말하는 것이지, 인간성 자체의 타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인간은 환경과 상황에 지배를 받는 것이고, 그것이 결국 인간성이라는 평가적 요소에 까지 쉽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실 이러한 논의에는 치명적인 심리학의 한계도 있다. 도와줄 사람이 옆에 있을 경우 70%의 사람이 도와주지 않았지만, 나머지 30%의 사람은 도와주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실험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는 더 낮은 비율을 보이겠지만, 분명한 건 그러한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2001년 겨울 일본 지하철에 빠진 일본인을 구하기 위해 뛰어든 이수현은 바로 30%에 해당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모든 것을 그 소수의 사람들에게 맡길 수는 없다. 소수의 사람이 없다고 해서 그것을 비관적으로만 볼 이유는 적다.
다만 모든 것은 인간성이나 비정함에 그 원인을 두는 것은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불행하고 끔찍한 사건들에서 신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민들의 인간적 비정함을 공격하는 것은 타당하지만은 않다. 끊임없이 소수의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게 하는 것도 물론이거니와 근본적인 치안대책과 우리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데 종합적인 중지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더 급선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