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트인(컬쳐 트렌드 인사이트)

하니와 한강 작가 패러디 무엇이 문제일까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24. 10. 27. 13:36

하니와 한강 작가 패러디 무엇이 문제일까

What's the problem with Hani and Han Kang's parody?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교수,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미래학회 연구학술 이사)

 

지난 2월 구독자 900만 명의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은 필리핀 여성과 방송을 했다가 인종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쯔양은 구독자와 함께 방송을 진행한다며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결혼 이주한 여성을 초대했다고 밝혔다. ‘필리핀X대한민국의 기막힌 콜라보라는 자막이 흐르면서 초대된 필리핀 여성은 안녕하세요. 미소가 아름다운 니퉁입니다라는 말에 이어 원래는 농부의 마누라였는데 지금은 개그우먼이라고 소개했다. 이 방송장면은 크게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근본적으로 이 여성은 가짜였다. 필리핀 여성이 아니라 한국 개그우먼이었다. 필리핀 출신이거나 결혼 이주민 여성과는 전혀 관련이 없었다.

Last February, Tsuyang, a popular mukbang YouTuber with 9 million subscribers,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over racial discrimination after broadcasting with a Filipino woman. Tsuyang said that she would broadcast with subscribers and invited a woman who had moved from the Philippines to Korea after marriage. With the subtitle ‘Amazing collaboration between Philippines and Korea’ playing, the invited Filipino woman said, “Hello. “I am Nitung with a beautiful smile,” he continued, adding, “I was originally a farmer’s wife, but now I am a comedian.” There were two major problems with this broadcast scene. Basically, this woman was a fake. It was not a Filipino woman, but a Korean comedian. It had nothing to do with women from the Philippines or marriage immigrants.

 

그런 상황에서 어눌한 한국말투는 더욱 비하의 의미가 있어 보였다. 한국 개그맨이 다나카라는 일본인 흉내를 내며 어눌한 말투를 쓰는 것과 같은 맥락의 차별적인 캐릭터 구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다가 일부러 태운듯한 검은 피부 톤으로 분장까지 했다. 1980년대 시커먼스 분장을 떠올릴 수 있는 인종차별적인 메이크업이었다. 당연히 필리핀 누리꾼들은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만약 해외에서 한국인을 이렇게 묘사했다면 아마도 큰 반발이 있었을 것이다.

In such a situation, the slurred Korean accent seemed to have an even more derogatory meaning. It can be said to be a distinctive use of character in the same context as the Korean comedian imitating a Japanese person named Tanaka and using slurred speech. In addition, she was deliberately made up with a tanned black skin tone. It was a racist makeup that reminded me of the 1980's civil makeup. Naturally, Filipino netizens showed opposition. If Koreans were portrayed this way overseas, there would probably be a huge backlash.

 

10월에 들어서서 이런 차별적인 흉내가 또 등장했다. ‘SNL코리아 시즌6’에서 국감장에 등장했던 하니의 모습을 패러디했다. 무엇보다 하니 캐릭터는 어눌한 말투를 사용했는데 이는 베트남계 호주인인 하니를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울러 한강 작가의 표정과 말투를 흉내 낸 장면도 문제가 되었다. 말투는 물론이고 실눈까지 뜰 필요가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특히, 하니 패러디 영상은 ‘SNL코리아 시즌6’만이 아니라 구청 홍보영상에서 나왔다. 하니가 국감장에 나온 맥락과는 전혀 관계없는 체육대회 홍보 콘텐츠였다. 그렇다면 패러디의 원칙과 기준은 무엇일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October, this discriminatory imitation appeared again. In ‘SNL Korea Season 6’, Hanni’s appearance at the National Assembly was parodied. Above all, Hani's character used slurred speech, which was intended to highlight Hani, who is Vietnamese-Australian. In addition, scenes that imitated writer Han Kang's facial expressions and tone of voice also became problematic. I didn't know if it was necessary to even narrow my eyes, let alone the way I spoke. In particular, the Hanni parody video appeared not only in ‘SNL Korea Season 6’ but also in the district office promotional video. It was promotional content for an athletics competition that had nothing to do with the context in which Hanni appeared at the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If so, it would be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of parody are.

 

린다 허천(Linda Hutcheon)패러디 이론에서 패러디는 새로운 맥락에 따라 원본을 인용하며 그것을 비판하거나 아이러니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작의 텍스트에 비평 또는 아이러니한 거리감이 생길 때 패러디가 된다고 했다. 단순히 모방을 하는 것은 모사에 불과하므로 뭔가 차이가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남다른 창조성이 중요하다. 아울러 모순과 허구성을 폭로하는 비판적인 메시지가 들어가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바흐친(Mikhail Bakhtin)은 패러디는 전통적인 이데올로기를 넘거나 전복시키는 장치라고 했다.

Linda Hutcheon explains in ‘Parody Theory’ that parody cites the original in a new context and aims to criticize or make it ironic. It is said that parody occurs when there is a sense of criticism or ironic distance from the original text. Simply imitating is nothing more than copying, so there must be something different, and extraordinary creativity is important here. In addition, it must contain a critical message that exposes contradictions and fictions. Furthermore, Mikhail Bakhtin said that parody is a device to overcome or subvert traditional ideology.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패러디에 권력자를 비판하고 약자를 위무하는 내용이 많아지는 배경이 된다. 약자인 국민이 권력자들을 쉽게 비판할 수 없다면 우회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게 되는데 이는 풍자의 원칙이 된다. 이런 해학적 풍자의 수단으로 패러디는 유용하고도 효과적이다. 마찬가지로 유명인을 패러디를 통해 희화화할 때도 그 대상은 비판할 점이 있거나 모순을 감춘 대상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관점에서 하니와 한강은 그러한 희화화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In this context, it serves as a background for the increasing content of parodies that criticize the powerful and comfort the weak. If the underprivileged people cannot easily criticize those in power, they express it in an indirect way, which becomes the principle of satire. As a means of humorous satire, parody is useful and effective. Likewise, when a celebrity is caricatured through parody, the object must be one that has something to criticize or that hides contradictions. So, from this perspective, it is unclear whether Hani and Han Kang can be the objects of such caricature.

 

 

하니는 국감장에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해서 증언을 하기 위해 나왔다. 시종일관 진지했고 호소하면서 나중에는 울음까지 터트렸다. 이 국감장에는 사측의 대표도 나왔는데 직장 괴롭힘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하니는 답답한 심정을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누구를 패러디해야 했을까. 이는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기 때문에 강요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하나를 어눌하게 구사하는 말투를 특징잡을 일은 아니었다. 결국, 하니의 후광 효과를 노렸던 국감장의 인사들과 다른 바가 없는‘SNL코리아 시즌6’였을 뿐이다.

Hanni came forward to testify before the National Audit Office about workplace bullying. He was serious the whole time and even burst into tears as he complained. A representative from the company also appeared at this National Inspection, but Hanni ended up expressing her frustration because the workplace bullying was not acknowledged. So who should we parody? Since this falls under freedom of expression, it cannot be forced, but at least it was not a matter of characterizing one's slurred speech. In the end, it was just ‘SNL Korea Season 6’, which was no different from the personnel of the National Assembly Inspector General who aimed for Hanni’s halo effect.

 

하니를 등장시키면 주목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재로 삼은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마찬가지로 한강 작가를 ‘SNL코리아 시즌6’에 등장시킬 이유는 별로 없어 보였다. 오히려 등장시키지 않았더라면 한강 작가의 이미지 훼손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단지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실눈 캐릭터가 되어 웃음의 소재로 박제되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었다. 어떤 창조성이나 차별성도 생각할 수 없었다. 작가들의 처지를 외면하는 저작권 단체의 태도를 패러디하는 것이 맞았다.

It was nothing more or less than using Hanni as a subject matter because it would attract more attention if she appeared. Likewise, there seemed to be little reason to have writer Han Kang appear in ‘SNL Korea Season 6’. In fact, if it had not been featured, artist Han Kang's image would not have been damaged. I couldn't figure out if I should be turned into a character with narrow eyes and stuffed for laughter just because I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 couldn't think of any creativity or differentiation. It was correct to parody the attitude of copyright organizations that ignore the plight of writers.

 

요컨대, 하니와 한강, 그들은 문화권력자도 아니고 모순과 비판의 대상이 될만한 언행을 하지도 않았다. 결국, 약자인 여성의 유명세를 프로그램의 인지도를 위해 도구화해 버린 셈이 되었다. 하니의 경우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도 안 되었다. ‘SNL’이 미국에서 강력한 패러디 등을 바탕으로 풍자코미디로 인기를 끌어왔고 한국에서도 이러한 점을 시도도 눈길을 끌었지만 갈수록 원래의 그 맥락과 원칙을 잃어버리고 있는 모양새이다. ‘SNL코리아 시즌6’만이 아니라 구청 홍보영상 사례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패러디의 철학과 정신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In short, Hanni and Han Kang are not cultural figures, and they have not said or done anything that could be subject to contradiction or criticism. In the end, the fame of an underdog woman was used as a tool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program. In Hanni's case, it didn't help solve the problem at all. ‘SNL’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United States as a satirical comedy based on strong parodies, and its attempts in this regard have also attracted attention in Korea, but it seems to be gradually losing its original context and principles.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the philosophy and spirit of parody not only in ‘SNL Korea Season 6’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case of the district office promotional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