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the world's top K-virtual idol become a trend?
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교수, 대중문화평론가,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Kim Hern-sik (Specially appointed professor at Jungwon University, popular culture critic, Doctor of Cultural Information Contents)
가상 아이돌에 관한 질문을 종종 받는다. 최근에는 플레이브와 나이비스같이 주목받는 가상 아이돌의 인기 이유에 대한 것이었다. 한국이 거의 유일무이하게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니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매번 질문을 받으면서 드는 생각은 명확해 보였다. 틈나는 대로 언급하지만, 세계적이었던 가상 인간 릴 미켈라가 사라진 이유를 생각할 시점이 되었다는 것.
I often get questions about virtual idols. Recently, it was about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virtual idols such as Flave and Naibis. We cannot help but pay attention to Korea as it appears to be almost uniquely playing a leading role. Each time I was asked a question, my thoughts seemed clear. I mention it whenever I can, but it is time to think about why Lil Michela, the world-famous virtual human, disappeared.
우선 가상 인간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표 주자는 단연 릴 미켈라(Lilmiquela)였는데, 브라질 출신 미국 LA 거주의 19살 인플루언서로 설정되어 연 160억 원의 수입을 올리고는 했다. 아울러 팔로워만 250만 명에 달했다. 샤넬, 프라다, 디올 같은 유명 브랜드는 릴 미켈라를 홍보모델로 기용했다. 버추얼 인플루언서(Virtual Influencer)로서 실연의 아픔을 담아 노래를 만들고 뮤지션 활동에도 나서기도 했다.
First, we need to briefly look at virtual humans. The representative player was by far Lilmiquela, a 19-year-old influencer from Brazil living in LA, who earned an annual income of 16 billion won. In addition, the number of followers reached 2.5 million. Famous brands such as Chanel, Prada, and Dior used Lil Michela as a promotional model. As a virtual influencer, he wrote songs expressing the pain of heartbreak and even began working as a musician.
다른 나라에도 있었는데 일본 '이마' 중국 '화즈빙' 태국 '아일린'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가장 유명한 가상 인간이 로지였고, 한동안 여러 광고모델로도 활동했다. 이즈음 가상 인간 개념을 지향하는 걸그룹 에스파는 현실 아이돌과 가상 캐릭터의 결합으로 완전체를 이룬다는 세계관으로 등장했다. 1998년 데뷔한 사이버 가수 아담보다 매우 진일보한 면을 보여주었다.
There were also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s 'Ima', China's 'Hua Zhibing', and Thailand's 'Aileen'. The most famous virtual human in Korea was Rosie, and she also worked as a model for several advertisements for a while. Around this time, the girl group Aespa, which pursues the concept of virtual humans, emerged with a world view of forming a complete ent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al idols and virtual characters. He showed a much more advanced side than cyber singer Adam, who debuted in 1998.
분명 가상 아이돌이 어느 날 갑자기 나온 건 아닌데,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으며 하나는 플레이브 그리고 다른 하나는 나이비스로 대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둘을 비교 검토하면서 가상 아이돌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플레이브는 애니메이션 기반의 가상 아이돌이다. 오로지 가상 캐릭터에 기반한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다. 나이비스는 하이퍼 리얼 기반의 가상 아이돌이다. 실제 사람보다 더 실재감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Obviously, virtual idols did not suddenly appear one day, but there can be two main types, one of which is Flave and the other is nævis. By comparing these two, you will be able to gauge the present and future of virtual idols. First of all, Playv is an animation-based virtual idol. It is a virtual idol group based solely on virtual characters. nævis is a hyper-real-based virtual idol. The purpose is to give a feeling of being more real than a real person.
사용 구동된 테크놀로지 수준은 이전과 차원이 다르게 진화하고 있다. 그래도 아담 수준보다 매우 진화한 플레이브는 가상 캐릭터 구성원들과만 퍼포먼스를 하지만, 나이비스는 실제 사람과 같이 퍼포먼스를 어울려 하는 모습을 보인다. 둘은 다른 방식으로 언캐니 현상(언캐니 밸리 현상: 불쾌한 골짜기)을 극복하는 연출 기법까지 보여주는 듯하다. 나이비스는 여기에 나름의 서사와 세계관이 탄탄한데 에스파라는 실제 아이돌의 가상 캐릭터로 설정되었다. 가상과 현실을 자유자재로 넘나들게 교차적인 증강현실 효과의 구현을 실현한다.
The level of technology used is evolving at a completely different level than before. Still, Flave, who is much more evolved than Adam, only performs with virtual character members, but nævis appears to try to perform like real people. The two seem to show directing techniques that overcome the uncanny phenomenon (uncanny valley phenomenon) in different ways. nævis has its own strong narrative and worldview, but Espara is set up as a virtual character of an actual idol. It realizes the implementation of intersectional augmented reality effects by freely crossing between virtual and reality.
그런 맥락에서 처음부터 완성된 구조를 갖고 촘촘하게 구성력을 갖고 있다.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15년 전 이상부터 SM이 버추얼 네이션(가상 국가)을 구축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AI와 이모션 퍼포먼스 캡쳐링을 통해 인간보다 더 사실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플레이브와 비교하면 인간적인 친화성 면에서 대중성은 떨어질 수 있다. 하이퍼 리얼은 찬탄을, 애니 캐릭터 방식은 친화성을 보여주는데 물론 나이비스는 코믹스 캐릭터, 애니 캐릭터, 하이퍼 리얼 캐릭터를 자유자재로 오가는 모습을 구현한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것은 이런 캐릭터 자체의 매력 저 너머에 있다.
In that context, it has a structure that was completed from the beginning and is tightly structured. The reason it was possible was because SM had attempted to build a virtual nation more than 15 years ago. In particular, it shows more realistic movements than humans through AI and emotion performance capturing.
However, compared to Flave, it may be less popular in terms of human friendliness. Hyper-realism is admirable, animation character style shows friendliness, and of course, nævis freely moves between comic characters, animation characters, and hyper-real characters. But what is really important lies beyond the charm of the character itself.
Z세대들이 가상 현실과 메타버스의 상황으로 미래를 구축할 것으로 보였지만, 정작 좋아한 것은 에스파보단 뉴진스와 같은 풋풋하고 인간적인 친화력의 소통성이었다. 완벽한 테크와 촘촘한 세계관의 구축은 정말 훌륭할 수 있지만 새로운 세대가 원하는 것은 감탄사를 불러일으키는 사실성이나 가상 세계의 구축이 아니라 소통과 상호작용일 것이다.
It seemed that Generation Z would build the future with virtual reality and the metaverse, but what they really liked was the fresh and human friendly communication like New Jeans rather than Eespa. Perfect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a detailed worldview can be truly wonderful, but what the new generation wants is not realism or the construction of a virtual world that evokes exclamations, but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가상 아이돌이 음악적 수준도 완벽하다지만 실제 공연이나 팬미팅에서 대화를 나눌 수가 없다. 코로나 19는 새로운 세대에게 확실히 인식시켰다. 사람은 역시 비대면이 아니라 대면으로 체험하고 느끼고 만져야 한다는 것을. 엔데믹을 맞아 2023년부터 공연 시장이 폭발한 이유다. 비슷한 시기 릴 미켈라 같은 가상 인간은 사람들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물론 가상 인간은 음악이 없었던 한계가 있긴 하다.
Although virtual idols have perfect musical quality, they cannot have conversations during actual performances or fan meetings. COVID-19 has clearly made a new generation aware. People must experience, feel, and touch face-to-face rather than non-face-to-face. This is why the performance market has exploded starting in 2023 in the face of the endemic. Around the same time, virtual humans like Lil Michela disappeared from people's sight. Of course, virtual humans have limitations that do not exist without music.
음악이 있어야 팬덤이 중심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여전히 가상 아이돌과 팬 사이의 상호작용은 비대면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 아이돌은 분명히 하나의 장르로 강력한 팬덤을 만들 수 있지만, 대세로서 K 팝의 주류 주인공이 된다는 예측은 섣부르다. 기술적 완성도, 스토리텔링의 흥미, 몰입성과 별도로 2016년에 선을 보인 릴 미켈라가 코로나 19 팬데믹에서 크게 주목받다가 엔데믹과 함께 존재감이 사라진 점은 분명 함의가 있다.
There needs to be music for a fandom to become central. Interaction between virtual idols and fans is still non-face-to-face. In this context, virtual idols can certainly create a strong fandom as a genre, but it is premature to predict that they will become mainstream K-pop trends. Apart from technical perfection, interest in storytelling, and immersion, there is a clear implication that Lil Michela, which was released in 2016, received a lot of att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n disappeared along with the endemic.
앞선 맥락들에 대해 플레이브나 나이비스 혹은 에스파의 팬들이 분노하거나 불쾌할 수 있다. 무조건 반대하거나 가치를 폄훼하고 싶지 않다. 가상 아이돌의 역할과 효용은 분명 있다. 시간적 초월성, 뛰어난 역량 그리고 구현하려는 상상력의 수준이 실제 아이돌을 뛰어넘는 건 분명하기 때문이다.
Fans of Flave, nævis or Eespa may be angry or displeased with the preceding context. I do not want to unconditionally oppose it or denigrate its value. The role and utility of virtual idols are clear. This is because it is clear that the level of temporal transcendence, outstanding capabilities, and imagination they are trying to embody surpasses that of actual idols.
다만 더욱 인터렉티브한 면에서 더욱 잘되기를 바랄 뿐이다. 그 단계에 이를 때까지 매우 많은 투자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에 기다림의 미덕이 필요하다. 알묘조장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I just hope it does better in a more interactive way. It may take a lot of investment and time to reach that stage, so the virtue of waiting is necessary. Here's why you shouldn't encourage it.
* 언캐니 현상: 언캐니 밸리(Uncanny Valley) 현상. 특정인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현상 그래프가 마치 깊은 골짜기 같다고 해서 붙은 표현
* Uncanny phenomenon: Uncanny Valley phenomenon. A phenomenon in which favorability for a specific person repeatedly rises and falls. An expression given because the graph resembles a deep val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