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nny

3D 영화의 부흥을 꿈꾸는 국내 주류 감독들의 현주소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2. 2. 16. 22:48

3D 영화의 부흥을 꿈꾸는 국내 주류 감독들의 현주소

무비스트 | 김한규기자 | 입력 2011.11.11 17:49 | 수정 2011.11.11 17:58

지난 8월, < 7광구 > 는 국내 첫 3D 블록버스터 영화라는 점을 내세우며 많은 관객들의 기대 속에 개봉했다. 하지만 3D 입체영상 구현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기대치에 못 미치는 흥행 성적을 기록했다. 국내 기술력으로 3D영화를 만들겠다던 윤제균 감독과 모팩스튜디오는 당찬 포부는 온데 간데 사라지고, JK필름이 내년 개봉으로 계획했던 3D 영화 < 템플스테이 > 에도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뿐만이 아니라 여타 국내에서 제작을 준비하고 있었던 3D 영화들의 사정은 마찬가지다. 무엇보다도 3D 영화는 2D 영화보다 평균 30% 이상 제작비가 들어가는 점을 미뤄봤을 때, 투자 여건은 예전보다 더욱더 나빠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몇몇의 주류 감독들이 꾸준하게 3D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 중 한 명이 바로 김용화 감독이다. < 오! 브라더스 > 부터 < 미녀는 괴로워 > < 국가대표 > 까지 흥행 감독으로 자리 매김한 김용화 감독은 올해 1월 3D 영화 < 미스터고 > 를 제작한다고 밝혔다. 강제규 감독과 함께 설립한 (주)디렉터스가 제작하는 < 미스터고 > 는 < 식객 > 으로 유명한 허영만 화백의 만화 < 제7구단 > 을 영화로 옮긴 작품이다. 서커스단에 있는 연변 소녀 '미미'와 고릴라 '링링'이 한국 프로야구팀에 입단해 최고의 선수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그릴 영화는 야구를 소재로 하고 고릴라가 등장하는 3D 영화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글로벌 3D 기술 포럼'에서 < 미스터고 > 를 설명중인 김용화 감독

지난 10월 12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글로벌 3D 기술 포럼'에서 김용화 감독은 < 미스터고 > 의 최근 소식을 전했다. < 미스터고 > 는 2012년 개봉을 목표로 올 여름 크랭크인을 준비했었다. 하지만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오래 걸리다 보니 일정이 뒤로 밀리게 된 것이다. 감독은 포럼에서 기술적 표준화 부재, 장비 시스템 표준화 부족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또한 긴박감 넘치는 야구 장면, 역동적인 고릴라의 움직임을 3D 영상으로 보여주기 위해 < 미스터고 > 에 맞는 최적의 카메라와 리그 등 3D 장비와 시뮬레이션 작업에 몰두 했다고 덧붙였다.

3D 영화를 처음 시도하는 김용화 감독에게 무엇보다도 힘들었던 건 2D 영화보다 많은 변수였다. 특히 감독은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구현되는 3D 영상이 시간과 예산을 잡아먹었다고 토로했다. 최근 < 미스터고 > 제작진은 서극 감독의 3D 영화 < 용문비갑 3D > 의 스테레오그래퍼 케빈 라우를 영입해 문제점을 하나씩 풀어가고 있다. 이미 잠실야구장과 양수리 세트장에서 막바지 3D 영상 테스트를 했고, 실제 촬영 때 고릴라 링링을 맡을 대역의 움직임과 동선도 미리 체크한 상태다. < 미스터고 > 는 미미 역에 남지현을 비롯해 주요 캐스팅을 마무리 지은 후, 2012년 상반기에 첫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양윤호 감독은 이병헌이 주연을 맡은 < 쉐어 더 비전 > 으로 3D 세계에 발을 들여 놓았다. < 쉐어 더 비전 > 은 제품 및 브랜드를 광고할 목적으로 만든 영화지만, 3D 영상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양윤호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3D 영화를 찍는 노하우를 축적했다. 양윤호 감독은 이전부터 3D 영화 제작에 관심을 보였다. < 기생령 > 은 그의 첫 번째 3D 영화가 될 뻔 한 작품이다. 이 영화로 국내 첫 3D 공포 영화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전했지만 결국 제작상의 문제로 연출이 아닌 제작자로 한 발 물러났다. 더불어 3D가 아닌 2D로 개봉했다.

4D 영화 < 쉐어 더 비전 > 을 연출한 양윤호 감독

양윤호 감독은 지난 8월 17일부터 4D 영화 < 신들의 섬, 제주 > 의 촬영을 시작했다. < 신들의 섬, 제주 > 는 제주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 영화. 병석에 누운 어머니를 위해 진시황의 불로초로 알려진 한라산의 시로미 열매를 찾던 소년 미루가 신비한 세계로 빨려 들어가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이번 영화는 제주세계자연유산 홍보 영상물로 2012년 6월 준공을 완료하는 제주세계자연유사센터 내 4D 영상관 상영을 목적으로 제작됐다. 연출을 맡은 양윤호 감독은 "영화가 제주를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중적인 문화상품으로 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신들의 섬, 제주 > 은 < 아바타 > 를 비롯해 다수의 3D 영화를 촬영했던 '3Ality' 촬영 시스템을 통해 3D 입체영상이 구현됐다. 판타지 영화라는 장르적 특성에 따라 빠른 움직임에 적합한 '3Ality' 촬영 시스템을 사용했다는 감독은 놀라운 몰입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2011 경주세계문화엑스포' 3D 개막작 < 벽루천 > 처럼 판타지 세계는 VFX 작업을 통해 만든 CG 3D 영상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한라산 영실 오백장군, 용눈이 오름, 김녕굴 등 제주를 대표하는 명소에서 촬영한 < 신들의 섬, 제주 > 는 현재 후반작업 중이다.

양윤호 감독이 두 편의 4D 영화로 3D 영상 제작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다면, < 말아톤 > 의 정윤철 감독과 < 7급 공무원 > 의 신태라 감독은 3D 단편영화로 토양을 다졌다. 먼저 정윤철 감독은 2010년 3D 단편영화 < 알파 센타우리 > 를 만들었다. 부산영상위원회가 제작을 제안한 < 알파 센타우리 > 는 SF 멜로 영화로, 제15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열렸던 부산 국제필름커미션·영화산업박람회(BIFCOM)에서 상영됐다. < 아바타 > 는 충격이었다며 3D 영화의 매력에 빠진 정윤철 감독은 < 알파 센타우리 > 로 작년 서울국제초단편영상제에서 '3D 제작 컨퍼런스'에 참가, 3D 입체영화연출과 미학이라는 주제로 토론도 펼쳤다.

3D 단편영화 < 알파 센타우리 > 와 < 27년 후 >

최근 정윤철 감독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마련한 '한국형 3D스토리텔링 작가 양성 워크샵 과정'에 참여중이다. 기성 작가들이 변화하는 3D 환경을 이해하고 창작활동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워크샵을 통해 정윤철 감독은 더 나은 3D 작품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신태라 감독의 첫 번째 3D 영화는 작년 서울국제초단편영상제 개막작이었던 < 27년 후 > 다. 이 영화로 감독은 올해 미국에서 열린 LA 3D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27년 후 > 는 신태라 감독이 준비하고 있는 3D 장편영화 < AM 11:00 > 과 같은 타임머신이 소재다. < AM 11:00 > 은 지하 1000M 해저연구소를 배경으로 타임머신을 개발한 7명의 연구원들이 24시간 후 자신들이 죽게 된다는 걸 알고, 운명을 바꾸기 위한 사투를 벌인다는 내용이다. 신태라 감독은 무비스트 인터뷰를 통해 < AM 11:00 > 의 시나리오는 다 나온 상태고, 투자를 찾는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올해 안으로 진행될 것 같았던 < AM 11:00 > 은 시간이 좀 더 걸릴 듯하다. 신태라 감독의 차기작이 < 차형사 > 로 결정됐기 때문이다. 신태라 감독표 3D 장편 영화를 보고 싶다면 좀 더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앞서 알아봤던 감독들의 차기 작품들이 < 7광구 > 의 실패로 얼어붙은 국내 3D 영화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실패를 본보기 삼아 많은 준비를 해나가고 있는 감독들은 지금보다 더 나은 작품의 퀄리티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류 감독들의 3D 영화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글_김한규 기자(무비스트)

저작권자(c) 무비스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 8월, < 7광구 > 는 국내 첫 3D 블록버스터 영화라는 점을 내세우며 많은 관객들의 기대 속에 개봉했다. 하지만 3D 입체영상 구현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기대치에 못 미치는 흥행 성적을 기록했다. 국내 기술력으로 3D영화를 만들겠다던 윤제균 감독과 모팩스튜디오는 당찬 포부는 온데 간데 사라지고, JK필름이 내년 개봉으로 계획했던 3D 영화 < 템플스테이 > 에도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뿐만이 아니라 여타 국내에서 제작을 준비하고 있었던 3D 영화들의 사정은 마찬가지다. 무엇보다도 3D 영화는 2D 영화보다 평균 30% 이상 제작비가 들어가는 점을 미뤄봤을 때, 투자 여건은 예전보다 더욱더 나빠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몇몇의 주류 감독들이 꾸준하게 3D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 중 한 명이 바로 김용화 감독이다. < 오! 브라더스 > 부터 < 미녀는 괴로워 > < 국가대표 > 까지 흥행 감독으로 자리 매김한 김용화 감독은 올해 1월 3D 영화 < 미스터고 > 를 제작한다고 밝혔다. 강제규 감독과 함께 설립한 (주)디렉터스가 제작하는 < 미스터고 > 는 < 식객 > 으로 유명한 허영만 화백의 만화 < 제7구단 > 을 영화로 옮긴 작품이다. 서커스단에 있는 연변 소녀 '미미'와 고릴라 '링링'이 한국 프로야구팀에 입단해 최고의 선수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그릴 영화는 야구를 소재로 하고 고릴라가 등장하는 3D 영화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글로벌 3D 기술 포럼'에서 < 미스터고 > 를 설명중인 김용화 감독

지난 10월 12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글로벌 3D 기술 포럼'에서 김용화 감독은 < 미스터고 > 의 최근 소식을 전했다. < 미스터고 > 는 2012년 개봉을 목표로 올 여름 크랭크인을 준비했었다. 하지만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오래 걸리다 보니 일정이 뒤로 밀리게 된 것이다. 감독은 포럼에서 기술적 표준화 부재, 장비 시스템 표준화 부족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또한 긴박감 넘치는 야구 장면, 역동적인 고릴라의 움직임을 3D 영상으로 보여주기 위해 < 미스터고 > 에 맞는 최적의 카메라와 리그 등 3D 장비와 시뮬레이션 작업에 몰두 했다고 덧붙였다.

3D 영화를 처음 시도하는 김용화 감독에게 무엇보다도 힘들었던 건 2D 영화보다 많은 변수였다. 특히 감독은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구현되는 3D 영상이 시간과 예산을 잡아먹었다고 토로했다. 최근 < 미스터고 > 제작진은 서극 감독의 3D 영화 < 용문비갑 3D > 의 스테레오그래퍼 케빈 라우를 영입해 문제점을 하나씩 풀어가고 있다. 이미 잠실야구장과 양수리 세트장에서 막바지 3D 영상 테스트를 했고, 실제 촬영 때 고릴라 링링을 맡을 대역의 움직임과 동선도 미리 체크한 상태다. < 미스터고 > 는 미미 역에 남지현을 비롯해 주요 캐스팅을 마무리 지은 후, 2012년 상반기에 첫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양윤호 감독은 이병헌이 주연을 맡은 < 쉐어 더 비전 > 으로 3D 세계에 발을 들여 놓았다. < 쉐어 더 비전 > 은 제품 및 브랜드를 광고할 목적으로 만든 영화지만, 3D 영상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양윤호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3D 영화를 찍는 노하우를 축적했다. 양윤호 감독은 이전부터 3D 영화 제작에 관심을 보였다. < 기생령 > 은 그의 첫 번째 3D 영화가 될 뻔 한 작품이다. 이 영화로 국내 첫 3D 공포 영화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전했지만 결국 제작상의 문제로 연출이 아닌 제작자로 한 발 물러났다. 더불어 3D가 아닌 2D로 개봉했다.

4D 영화 < 쉐어 더 비전 > 을 연출한 양윤호 감독

양윤호 감독은 지난 8월 17일부터 4D 영화 < 신들의 섬, 제주 > 의 촬영을 시작했다. < 신들의 섬, 제주 > 는 제주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 영화. 병석에 누운 어머니를 위해 진시황의 불로초로 알려진 한라산의 시로미 열매를 찾던 소년 미루가 신비한 세계로 빨려 들어가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이번 영화는 제주세계자연유산 홍보 영상물로 2012년 6월 준공을 완료하는 제주세계자연유사센터 내 4D 영상관 상영을 목적으로 제작됐다. 연출을 맡은 양윤호 감독은 "영화가 제주를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중적인 문화상품으로 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신들의 섬, 제주 > 은 < 아바타 > 를 비롯해 다수의 3D 영화를 촬영했던 '3Ality' 촬영 시스템을 통해 3D 입체영상이 구현됐다. 판타지 영화라는 장르적 특성에 따라 빠른 움직임에 적합한 '3Ality' 촬영 시스템을 사용했다는 감독은 놀라운 몰입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2011 경주세계문화엑스포' 3D 개막작 < 벽루천 > 처럼 판타지 세계는 VFX 작업을 통해 만든 CG 3D 영상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한라산 영실 오백장군, 용눈이 오름, 김녕굴 등 제주를 대표하는 명소에서 촬영한 < 신들의 섬, 제주 > 는 현재 후반작업 중이다.

양윤호 감독이 두 편의 4D 영화로 3D 영상 제작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다면, < 말아톤 > 의 정윤철 감독과 < 7급 공무원 > 의 신태라 감독은 3D 단편영화로 토양을 다졌다. 먼저 정윤철 감독은 2010년 3D 단편영화 < 알파 센타우리 > 를 만들었다. 부산영상위원회가 제작을 제안한 < 알파 센타우리 > 는 SF 멜로 영화로, 제15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열렸던 부산 국제필름커미션·영화산업박람회(BIFCOM)에서 상영됐다. < 아바타 > 는 충격이었다며 3D 영화의 매력에 빠진 정윤철 감독은 < 알파 센타우리 > 로 작년 서울국제초단편영상제에서 '3D 제작 컨퍼런스'에 참가, 3D 입체영화연출과 미학이라는 주제로 토론도 펼쳤다.

3D 단편영화 < 알파 센타우리 > 와 < 27년 후 >

최근 정윤철 감독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마련한 '한국형 3D스토리텔링 작가 양성 워크샵 과정'에 참여중이다. 기성 작가들이 변화하는 3D 환경을 이해하고 창작활동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워크샵을 통해 정윤철 감독은 더 나은 3D 작품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신태라 감독의 첫 번째 3D 영화는 작년 서울국제초단편영상제 개막작이었던 < 27년 후 > 다. 이 영화로 감독은 올해 미국에서 열린 LA 3D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27년 후 > 는 신태라 감독이 준비하고 있는 3D 장편영화 < AM 11:00 > 과 같은 타임머신이 소재다. < AM 11:00 > 은 지하 1000M 해저연구소를 배경으로 타임머신을 개발한 7명의 연구원들이 24시간 후 자신들이 죽게 된다는 걸 알고, 운명을 바꾸기 위한 사투를 벌인다는 내용이다. 신태라 감독은 무비스트 인터뷰를 통해 < AM 11:00 > 의 시나리오는 다 나온 상태고, 투자를 찾는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올해 안으로 진행될 것 같았던 < AM 11:00 > 은 시간이 좀 더 걸릴 듯하다. 신태라 감독의 차기작이 < 차형사 > 로 결정됐기 때문이다. 신태라 감독표 3D 장편 영화를 보고 싶다면 좀 더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앞서 알아봤던 감독들의 차기 작품들이 < 7광구 > 의 실패로 얼어붙은 국내 3D 영화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실패를 본보기 삼아 많은 준비를 해나가고 있는 감독들은 지금보다 더 나은 작품의 퀄리티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류 감독들의 3D 영화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글_김한규 기자(무비스트)

윤제균 감독, "'7광구' 창피해서 고개 못들었다"
OSEN|
입력 2012.02.02 16:59
|수정 2012.02.02 17:03
 
폰트크게작게메일인쇄스크랩고객센터
[OSEN=최나영 기자] 황정민, 엄정화 주연 영화 '댄싱퀸'을 제작한 윤제균 감독(JK필름)이 영화 '7광구'로 인해 상처를 받았던 마음을 털어놨다.

지난 2009년 영화 '해운대'로 1000만 관객을 넘게 동원하며 한국형 재난 블록버스터의 서막을 연 윤제균 감독이지만, 그에게 지난 해는 쓰디쓴 아픔을 남기기도 했다. 그가 제작한 200여억원이 투입된 영화 '7광구'가 흥행에 쓴 맛을 보고 평단과 대중에게 외면받았기 때문.

하지만 그는 200만 관객을 돌파한 휴먼코미디 영화 '댄싱퀸'을 통해 코미디에 탁월한 감각이 있는, 상업영화의 귀재임을 다시금 입증하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종로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만난 윤제균 감독은 '댄싱퀸'의 성공에 축하를 건네자 행복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그동안 '7광구' 때문에 창피해서 고개를 못 들고 다녔다. 너무 창피해서. 계속 잠수를 타고 싶을 정도로 힘들었지만 많이 배웠다"라고 전했다. 윤 감독 스스로 '7광구'에 걸었던 기대가 컸기에 아픔도 그 만큼 배가 됐던 것이 사실.

하지만 '댄싱퀸'으로 다시 힘을 얻은 그는 한층 더 겸손해진 태도로 '댄싱퀸'의 200만 돌파를 감사해했다.

윤제균 감독은 앞으로 영화 '미스터K', '템플스테이'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