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hip, is sexy reading possible?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교수, 정보콘텐츠학 박사, 사회문화평론가)
Written by/Kim Heon-sik (Jungwon University Special Professor, Doctor of Information Contents, Social and Cultural Critic)
1995년 뉴욕 교도소를 방문한 얼 쇼리스(Earl Shorris, 1936~2012)의 목적은 감옥에 드나드는 젊은이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이었다. 가난과 빈곤이 범죄 행위에 빠져든다고 생각했던 그는 8년 동안 복역하고 있는 20대 여성 수감자에게 충격적인 말을 듣는다.
그 여성에게 이런 삶을 살게 된 이유에 관해 물었는데, 돌아온 대답은 생각 밖이었다. 20대 여성은 정신적 삶이 연관된 독서 등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빈곤한 경제가 아니라 결핍된 독서가 정신적 삶을 빈곤하게 하고 그것이 그들의 범죄로 이어지는 셈이었다. 이는 가난이 비행과 범죄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던 얼 쇼리스의 뇌리를 뒤흔든다.
이 일이 있고 나서 그는 독서와 토론 과정을 개설한다. 이 과정에는 교도소에서 복역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참여했다. 그리고 그 과정을 이수한 청소년들은 사회에 복귀해 성공적으로 안착을 했다. 대학은 물론 대학원에 진학하는 예도 빈번했다.
도대체 어떤 수업이었길래 이런 결과가 있었을까. 이 과정이 그 유명한 클레멘트 인문학 과정이었다. 인문학을 가르쳤기 때문에 역시 인문학에 뭔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인문학 교실과 달랐던 점이 주효했다. 어떻게 달랐는가 하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수업이었다. 그렇다면 유명한 고전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이해시킨 것이었을까?
실제는 그것과 반대였다. 정규대학 수업 과정으로 배경지식이나 소양이 없을지라도 원전을 직접 읽혔고 그 내용에 관해 토론하도록 했다. 그 과정은 쉬울 수가 없었다.
하지만, 효과는 컸다. 말로만 듣던 유명한 고전을 읽고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면서 청소년들은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그것은 성취감으로 사회에 나가서 새로운 분야에 도전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독서가 멋있는 것을 넘어서 섹시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선불교의 임제 선사(臨濟義玄 ?~867)는 도끼를 들고 다니며 부처상이 있으면 목을 쳤다고 한다. 그것은 기존의 깨달음과 지식 혹은 스승조차 뛰어넘으라는 뜻이었다.
아울러 프란츠 카프카는 “한 권의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와 같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도끼로 찍힌 듯한 충격이 기존 인식이나 세계관을 뒤흔들 때 변화는 시작될 것이다.
근래에 이 말을 이어받은 예도 있었다. 사사키 아타루는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에서 독서는 매우 힘든 과정이고 혁명이라고 했다.
책을 읽고 쓰는 것 자체가 혁명이라고 했으니 단순히 고상하고 품격 있는 것을 생각하는 인식과 거리가 있다. 새로운 사유를 하고 그것을 책으로 쓰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인데 그 남의 사유가 담긴 책을 읽는 독서가 쉬울 리 없다.
미국 패션 모델 카이아 거버(Kia Gerber)가 독서 모임을 만들면서 “정말 섹시하다(Reading is so sexy)”라고 말한 것이 ‘텍스트 힙’이라는 유행어와 함께 맞물려 최근 크게 회자했다.
‘섹시’와 ‘힙’은 좀 다른 결을 지닌 것으로 보이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에 더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즉, 책 읽기나 도서 선택이 매우 멋지고 매력적이라는 점을 부각한다.
이는 모두 SNS를 전제로 하고 있다. 많은 젊은 세대가 책 읽는 모습이나 책 안의 문구 등을 SNS에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책만이 아니라 북카페나 도서전시회, 서점, 공유 서재를 인증샷으로 올리는 경우도 있다.
카이아 거버를 포함해 우리나라에서도 K팝 아이돌이 책을 SNS에 공유하면서 이에 영향을 받는 사례가 텍스트 힙 현상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공항 패션이라는 말보다 공항 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책과는 거리가 멀 것으로 생각되는 ‘디지털 네이티브’, Z세대들이 출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듯싶어 주목할 수밖에 없어 보였다. 어쨌든 벽돌 책부터 얇은 시에 이르기까지 책들이 SNS 게시물로 널리 공유되고 있으나 반갑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여기에는 우려의 시선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단지 겉으로 드러내는 행위에만 몰입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자랑을 하기 위해 책을 다루고 있으니 얼마나 독서에 지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책도 아니고 책 읽기도 아니다. 브이로그처럼 일상 자체를 무엇인가 읽고 쓰는 삶의 방식이다. 그것은 마치 하루 삼시 세끼 밥을 먹는 것처럼 하는 일이다.
무엇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밥을 어떻게 먹고 있는가이다. 현미밥을 먹듯이 꼭꼭 씹어먹는지 아니면 카스텔라 먹듯이 쉽게 삼키는지에 따라 그 결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꼭꼭 씹는 것은 도끼질과 같다. 도끼로 깨는 듯한 독서가 세상 이전에 자신을 다르게 만들 수 있다. 음식을 너무 쉽게 삼키면 언제나 탈이 나기 쉬울 뿐이고, 쉽게 삼킬 수 있는 음식만 섭취하면 비만해져서 질병에 노출될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책 읽기의 본질을 이야기할 때는 ‘섹시’하지도 ‘힙’하지도 않다. 얼 쇼리스의 클레멘트 과정에 참여한 청춘들처럼 소망하는 결과가 있으면 좋을 뿐이다.
그들이 좋은 결과를 냈던 이유는 씹기 어려운 음식 같은 고전을 차근차근 꼭꼭 씹어 읽으며 자기 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SNS에, 게시물에 달리는 ‘좋아요’가 그들의 성취감을 대신할 수는 없다.
The purpose of Earl Shorris (1936-2012), who visited a New York prison in 1995, was to guide young people going in and out of prison on the right path. He thought that poverty and destitution lead him to criminal behavior, but he hears shocking words from a female inmate in her 20s who has been serving eight years in prison.
I asked the woman why she lived this way, and the answer she got was unexpected. A woman in her 20s said that it was because there was no activity related to mental life, such as reading.
It was not the poor economy, but the lack of reading that impoverished their mental lives, which led to their crimes. This shakes the mind of Earl Shores, who thought poverty was the cause of delinquency and crime.
After this, he institutes a reading and discussion course. Youth serving sentences in prison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the youth who completed the course returned to society and settled down successfully. There were frequent cases of students going on to college or graduate school.
What kind of class was this to have results like this? This course was the famous Clement Humanities course. Because I taught humanities, I was able to think that there was something in humanities.
The difference from a typical humanities classroom was effective. What was different was that the class involved reading and discussing books by Plato and Aristotle. So, was it a way to explain and understand a famous classic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In reality it was the opposite. As part of a regular university cours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the original text and discuss its contents even if they had no background knowledge or qualifications. The process couldn't be easy.
However, the effect was great. Young people gained confidence by reading famous classics that they had only heard about and expressing their thoughts. It allowed me to go out into society and challenge myself in a new field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What we can think about here is whether reading can be sexy beyond being cool.
It is said that Zen Buddhism's Master Rinzai (臨濟義玄 ?~867) carried an ax and beheaded any Buddha statue he found. It meant going beyond existing enlightenment, knowledge, or even a teacher.
Additionally, Franz Kafka said, “A book should be like an ax that breaks the frozen sea within us.” Change will begin when the impact of being hit with an ax shakes existing perceptions or worldviews.
There have been recent examples of this saying being inherited. In ‘Cut Those Praying Hands,’ Ataru Sasaki said that reading is a very difficult process and a revolution.
It is said that reading and writing a book itself is a revolution, so it is far from the perception of simply thinking about something noble and dignified. It is very difficult to come up with new thoughts and write them down in a book, but reading a book containing someone else's thoughts cannot be easy.
American fashion model Kia Gerber's comment "Reading is so sexy" while forming a book club has recently become a topic of conversation, coinciding with the buzzword "text hip.“
‘Sexy’ and ‘hip’ seem to have slightly different qualities,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focus more on outward behavior. In other words, it highlights that reading books or choosing books is very cool and attractive.
This is all based on the premise of SNS. This is because many young generations are sharing images of themselves reading books or text in books on social media. In some cases, proof shots are posted of not only books but also book cafes, book exhibitions, bookstores, and shared libraries.
In Korea, K-pop idols, including Kaia Gerber, were influenced by sharing books on social media, creating the text heap phenomenon. It can be said that it is called an airport book rather than an airport fashion.
It seemed inevitable that ‘digital natives’, Generation Z, who are thought to be far from books,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publishing. In any case, books ranging from brick books to thin poems are being widely shared through social media posts, and it is hard not to be happy about them.
Of course, it is true that there are concerns here. This is because they only focus on externally revealing actions. Since I am using books to show off, I wonder how long I will be able to continue reading.
But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he book or reading the book. Like vlogs, it is a way of life where you read and write about your daily life. It's like eating three meals a day.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s how you eat it. This is because the results vary depending on whether you chew it thoroughly like eating brown rice or easily swallow it like eating castella.
Chewing thoroughly is like cutting with an axe. Reading, like breaking with an axe, can make a difference in yourself before the world. If you swallow food too easily, you will always get sick, and if you only eat foods that are easy to swallow, you will become obese and be exposed to disease.
In this context, when talking about the essence of reading books, it is neither ‘sexy’ nor ‘hip’. It is only good if there is a desired result like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Earl Shores' Clement course.
The reason they achieved good results was because they chewed the classics, which were difficult to chew, step by step, and made them their own. ‘Likes’ on social media and posts cannot repla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