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

인간 음식찌꺼기 훔쳐먹던 늑대가 현재의 개 됐다”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3. 2. 3. 13:57

 



[서울신문 나우뉴스]인간 최고의 친구인 개는 어떻게 현재와 같은 모습의 ‘반려동물’이 됐을까?

최근 스웨덴 웁살라 대학 연구팀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가 현재와 같은 가축이 된 이유를 밝힌 연구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간 연구에 따르면 개가 인간과 함께 살게 된 시기는 물론 어떻게 친구가 됐는지도 명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크게 두가지 추론이 제기되어 왔다.

하나는 과거 인간이 사냥 시 늑대를 동료로 활용해 이후 일부 늑대가 개가 되었다는 이론과 또 하나는 인간이 살던 거주지 주변의 음식물을 늑대가 먹기 시작하면서 결과적으로 인간과 함께 살게 되었다는 설이다.

이와 관련 웁살라 대학 연구팀은 인간이 농경으로 정착하면서 음식 찌꺼기 등을 늑대가 먹기 시작해 일부 늑대가 현재의 같은 개가 됐다는 이론의 손을 들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전세계 60마리의 개와 12마리 늑대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개의 경우 늑대와 차이를 보이는 36개의 게놈 부위를 찾아냈으며 특히 녹말을 분해하는 능력이 늑대에 비해 5배 정도 탁월함을 밝혀냈다.

결과적으로 인간의 음식물을 더 잘 소화하는 늑대 중 일부가 현재의 개가 되었다는 추론이 가능한 셈.

연구를 이끈 웁살라 대학 에리크 악셀손 교수는 “인간과 소화능력이 비슷한 늑대들이 진화해 오랜 시간을 거쳐 현재의 개처럼 인간과 함께 살게 된 것”이라며 “농경의 발달과 함께 늑대들의 가축화도 이루어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잡지 ‘네이처’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나우뉴스 공식 SNS 계정: 트위터 http://twitter.com/SEOUL_NOWNEWS

늑대, 인간이 남긴 밥을 먹고 개가 됐다?



개의 진화 요인 연구

예전에는 주로 개를 마당에서 키웠다. 이 때문에 개의 주식은 사람들이 먹다 남긴 밥이었다. 그러나 아파트 등 실내에서 애완견 혹은 반려견이라는 이름으로 작고 귀여운 개를 주로 키우는 요즘에는 냄새가 덜한 개 사료를 주로 먹인다.

그런데 늑대 중 일부가 오늘날의 개가 된 것은 오래 전 초기 농민의 음식 찌꺼기를 먹으면서 탄수화물을 소화하고 대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웁살라대학 연구진은 늑대와 개의 게놈(유전체ㆍ한 생물이 가지는 모든 유전 정보)을 비교한 결과 두 종간의 차이는 뇌 발달과 탄수화물 소화 능력에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늑대 12마리와 14품종의 개 60마리의 게놈을 분석해 늑대와 개의 결정적인 차이를 드러내는 36개 부분을 찾아냈다. 이중 10개 부분이 녹말질을 소화하고 지방을 분해하는 것을 돕는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는 장에서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유전자가 늑대보다 많았다.

연구결과 개는 늑대보다 녹말 소화 능력이 5배 정도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런 변화는 늑대가 농경에 정착한 사람과 협력하기 시작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류가 정착해 농업을 시작하면서 거주지 주변에 쌓아 놓은 음식 찌꺼기가 늑대의 새로운 먹잇감이 됐고, 이런 늑대들 가운데 사람의 음식을 가장 잘 소화할 수 있는 것들이 개의 조상이 됐다는 것이다.

인류가 언제부터 개와 가까이 지내게 됐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고학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구진의 케르스틴 린드블라드-토 교수는 “1만 년 전경 중동에서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인류 역시 녹말질을 쉽게 소화하도록 진화했다”며 “인류와 개가 함께 탄수화물 소화에 맞게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개 화석이 3만3000년 전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기록도 있기 때문에 이런 주장에 대한 반론도 있다. 영국 더럼대의 그레저 라손 교수는 “초기 개 화석은 농경의 시작보다 앞서 나왔기 때문에 소화에 관한 유전자가 가축화를 촉진시켰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잡지 ‘네이처’에 실렸고, BBC와 NBC 방송 등이 보도했다.

[관련기사]

개와 함께 사는 아이, 알레르기 저항력 크다

개 지능, 보더콜리 최고…하운드 최저

원래 사나운 개는 없다…주인따라 달라져

식어버린 부부 관계, 원인을 알고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