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논평

[시사와 문화]촛불 문화제와 광장가요 시대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1. 2. 13. 19:23

[시사와 문화]촛불 문화제와 광장가요 시대

<경향신문>
요즘 가수가 히트곡을 만들려면 오락 프로그램에 출연해야 한다. 물론 대중에게 널리 얼굴을 알릴 수 있어서가 아니라 오락 프로그램에서 적극적으로 가수의 노래를 홍보(?)해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기 있는 오락 프로그램에서 해당 출연 가수의 노래를 들려주면 인터넷이나 가요 차트에서 검색어 1위나 상위곡이 된다. ‘1박2일’이나 ‘우리 결혼했어요’가 대표적 프로그램인데, MC몽·이승기·김C·솔비·앤디·서인영·황보·크라운제이·김현중 등 주요 출연진은 모두 가수다. 이들 오락 프로를 통해 널리 알려진 곡으로 알렉스의 ‘화분’ 사오리밴드의 ‘응석쟁이’ 은지원의 ‘아디오스’, MC몽의 ‘서커스’ 등을 꼽을 수 있다. ‘사랑이 뭐길래’에서 김혜자가 불렀던 김국환의 ‘타타타’나 ‘소문난 칠공주’나 영화 ‘비열한 거리’에서 조인성이 불러 다시 히트한 ‘땡벌’과 비교할 수 없이 의도적이라면 지나칠까.

이 곡들을 진정 시청자들이 얼마나 듣고 싶어 하는지는 알 수 없다. 이렇게 오락 프로에서 특정한 노래들을 띄우기에 바쁜 사이 광장에서는 다른 노래들이 애창되고 있었다. 이른바 ‘광장가요’의 재등장이었다. 대중가요와 민중가요가 노래 부르는 존재의 범위라면 광장가요는 그들을 하나로 묶는 공간의 개념이 강하다.

예전 시위에는 민중가요가 주로 등장했지만, 촛불문화제에는 다양한 노래들이 등장한다. ‘임을 위한 행진곡’과 같은 민중가요는 물론 대중가요와 응원가도 선보였다. 10대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인터넷을 통해 연습하고 나왔다. 윤민석의 ‘헌법1조’ 같은 부담 없는 새 민중가요가 폭넓게 오르내렸다. 2002년 ‘아리랑’이나 ‘월드컵 응원가’도 사실 광장가요 가운데 하나다. 광장에서 주로 불렸기 때문이다. 이번 촛불문화제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학과 재치인데, 다양한 창작곡은 물론 노가바(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가 많이 등장했다. ‘되고송’이나 ‘아기공룡 둘리’ ‘뽀뽀뽀’, 소방차의 ‘어젯밤 이야기’ 개사가 대표적인데 일종의 패러디 노래들이다. 그러나 이 다양한 노래는 광장 위에서 스쳐지나간다. 무척 재밌고 기발한 내용이 많기에 문화적 콘텐츠로 소중하지만, 아깝게 채록되지 못하고 있다.

광장에서 모두 함께 부를 노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너무 예전 노래들만 있다. 광장 감수성에 맞는 노래가 없는 것이다. 광장에서 공감할 만한 노래를 만드는 데 가수들이 참여해야 하지만, 그들은 오락 프로 출연에 더 관심이 많은 모양이다. 대중이 아니라 플랫폼-광장의 시대다. 이명박 정부 내내 우리는 거리에서 어떤 노래들을 불러야 한다. 엔터테이너들의 사회적 발언도 의미가 있겠지만, 광장인들이 함께 부르고 듣고 싶은 노래를 만드는 것이 광장시대에 부응하는 것이 아닐까.

김헌식<대중문화 평론가>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