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관점의 미션과 관계 설정이 중요.
[글/김헌식, 컬쳐인사이트]최근 스포츠 소재 관련 예능과 드라마가 주목을 받고 있다. 스포츠는 방송 콘텐츠에서 쉽지 않은데 그 반응도 괜찮다. 무엇이 다르고 어떤 점에 주목을 해야하는 것일까.
SBS ‘스토브리그’는 예상밖이다. 꼴찌 팀에 새로 부임한 단장 백승수(남궁민)의 개혁 작업으로 흥미를 자아내고 있다. 보기 드물게 야구를 소재로 드라마 스토리라인을 구성해 새로움에 환호를 다른 한편으로는 우려가 있었다. 야구를 소재 극적인 장면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존재할 수 있고 그것이 오히려 발목을 잡을 수 있음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토브리그’는 경기 자체보다는 그 이면의 의사결정과정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숫자와 데이터,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과 판단 결정이 주는 인지적 흥미로움이 차별점을 주었다.
스포츠 소재의 예능프로그램으로 눈길을 사로잡은 건 jtbc “뭉쳐야 산다.”였다. 진짜 스포츠 선수들이 등장한다. 물론 한동안 스포츠 계를 주름잡았던 셀럽들이 등장했다. 그들에게 주어진 도전이 흥미 포인트였다. 바로 자신들이 하지 않던 축구라는 종목에 도전하는 것. 흔히 우리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는 매우 성공적인 경기내용과 반대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의 퍼레이드는 의외의 반전을 연속적으로 낳는 재미를 주었다. 각 개별 셀럽들이 각자 도생해야 한다는 시대정신(?)에 반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인기를 끄는 역설 속에 자리를 잡았다.
KBS ‘씨름의 희열’은 가장 운동 경기 그 자체에 주목을 하게 만들었다. 문화 광산의 채굴 그 바로 그 자체라고 할 수가 있다. 젊은 세대들이 과거의 씨름 영상 속에서 그 가능성을 현대적으로 재발견하고 공유했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이 가능했다. 그 동안 주목을 받았던 백두와 천하장사급이 아니라 태백 금강 체급을 통해 씨름의 기술이 갖는 진수에 주목을 하게 만들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더욱 그러하다.
대개 스포츠를 다루는 방송 프로그램은 그 경기 자체에 주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없다는 것은 실제 스포츠가 갖는 경기의 불예측성을 따라갈 수 없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각본에 따라 움직여야 하고 예능은 경기의 우연적 재미에 기대는 것이 이를 따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는 한다.
영화 ‘판소리 복서’는 독특하게도 판소리에 복싱을 결합했다. 모두 그 자체가 대중성이 좀 떨어지는 장르이자 소재라고 할 수가 있다. 이런 시도 자체는 훌륭하고 모험적이기 때문에 대단한 일이다. 만약 대중적인 성공을 생각한다면 방탄소년단의 멤버들이 출연했다면 좋았을 것이다. 결국 스포츠 소재의 대중콘텐츠는 소재와 형식도 중요하지만 그 안의 캐릭터들이 어떤, 어떻게 구성되는가도 중요한 것이겠다. KBS ‘씨름의 희열’조차 실제 선수들이 등장하지만 보이지 않았던 선수들 간의 관계성이 어떻게 크로스 되는가에 따라서 시청자 선택의 추이가 결정되니까 말이다. 스포츠도 사람이 하는 일이고 하나의 스토리를 끊임없이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드라마와 예능의 차이가 더 없어지고 있다. 그 스토리들은 새로운 도전이라는 미션이 주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같은 사람이라고 해도 캐릭터와 롤에 따라 전혀 다른 삶이 펼쳐지는 것은 이제 실제 삶과 콘텐츠 안팎이 다름이 없는 시대이다.
*김헌식(평론가, 박사, 카이스트미래세대 행복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