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신부 |
물론 실제로 그럴 만한 나라인지는 알 수 없다. 예컨대, 2005∼2007년 39개 국가에서 실시한 ‘세계 가치관 조사’에서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28위였지만, 베트남은 22위였다. 또 베트남은 어느 나라보다 자존감이 큰 나라다. 몽골 제국과 중국 왕조에 복속 혹은 동화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프랑스 제국주의와 일제와의 싸움에서 이기고 마침내 미국을 이긴 유일한 나라다. 통일도 자신들이 이뤘다. 단지 경제력이 한국에 조금 뒤처질 뿐이다.
드라마 ‘황금신부’에는 어머니 역의 리엔팜에 이어 베트남 여성 진주(이영아)가 등장하는데 전형적인 한국인의 환상체다.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한 가난한 나라에서 아버지의 나라에 온 라이따이한인 진주는 한국인의 피가 섞여 있기 때문에 주말 드라마의 여자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 모녀를 통해 베트남은 약한 나라, 연민의 나라, 여인의 나라가 된다.
한편으로 그녀들을 통해 베트남은 성적 환영을 지닌 곳이 된다. 베트남인이나 라이따이한으로서 남성은 배제된다. 여성이라고 해도 강하거나 외향 적이면 안 되는데 순수하고 가녀린 체형에 눈물이 많은 캐릭터여야 한다. 진주(이영아) 캐릭터가 적격이다. 그녀는 아버지와 아버지 나라에 대한 그리움과 동화의 의지가 충만해야 한다. 또 아버지와 그 나라를 비난하거나 저항하는 이미지여서는 곤란하다. 그녀는 주체가 아니라 피동체다. 그것은 베트남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의 근본 시선이다.
결국 ‘황금신부’에는 베트남 여성에 대한 성적 향수주의와 핏줄 혈연의식이 교차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인들의 경제적 우월 심리가 배어 있다. 물론 그러한 심리가 미국을 패전하게 만들었다. 경제력은 허구적일 수 있다. 앞의 행복지수를 다시 꺼내지 않아도 과연 베트남인보다 한국인이 행복한지 말하기도 힘들다. 물론 이런 드라마는 베트남에서 한류로서 환영받지 못한다. 그들의 자존감도 건드리고 있기 때문이다.
김헌식〈문화평론가〉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