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책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김헌식, 2007)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1. 7. 29. 12:09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

김헌식 | 출판사 : 북코리아

  • 2007년 08월 10일 출간 | 382쪽
  • 대중문화 현상과 문화심리, 대중문화와 한국사회!

    문화는 사람들의 마음을 반영한다. 즉, 문화란 동물들에게는 없는 인간 고유의 특성이다. 문화의 마음은 일정한 주체들을 통해 맥락을 보이고, 이 일정한 맥락은 사회적 현상을 통해 유형화된다. 이것은 인기나 유행일수도 있고 트렌드나 신드롬일 수도 있다. 저자는 그래서 대중문화를 분석의 준거 틀로 삼고 한국사회를 들여다보았다.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는 대중문화를 통해 한국사회를 조망한다. '대중문화를 움직이는 문화심리와 한국사회, 영상 미디어와 한국인의 문화심리,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사회 심리, 스타를 둘러싼 문화적 심리현상, 영화를 움직이는 문화심리' 등 5가지 주제 아래 저자가 여러 매체에 쓴 글들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드라마와 대중가요가 유치한 이유, 쿨 어법이 호응받는 심리, 한국에서 부와 성공의 상징이 된 첼로, 약자가 반드시 승리하는 심리전략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이렇게 대중문화 심리를 통해 한국사회를 바라본 내용들은 사람들의 마음을 읽고, 물리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공공성 모색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의 독서 포인트!
    일반 대중문화 교양서에서는 '대중'이라는 핵심을 저버리고 '문화'에만 집중한 경향이 많다. 그러나 이 책은 철저하게 대중들의 마음과 심리에 바탕을 두고 대중문화 현상을 기술하였다. 또한 비평이나 계몽적인 차원보다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집중하여 대중문화와 사회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폭넓은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저자소개 다른작품 작가 & 작품

    김헌식 문화사회평론가

    1999년 ‘인터넷 한겨레’를 시작으로 2001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사회 문화 비평을 해왔다. 제19회 인터넷 한겨레 하니 리포터상과 제1회 오마이뉴스 오름상을 받았다. CBS <노정렬의 뉴스야 놀자>, EBS <최형만 박수림의 속 시원한 라디오>에 고정 출연하였으며, KBS <뉴스와이드>, <내일은 푸른 하늘>의 고정 패널이다. EBS <한영애의 문화 한 페이지>에는 2004년부터 출연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신돈, 미천하여 거칠 것이 없어라', '색깔논쟁 ― 분단적 정책 구조의 탈주', '촛불@광장 사회의 메커니즘'(공저), '노무현 코드의 반란', '위인전이 숨기는 이순신 이야기' 등이 있다.

    저자이미지

    목차

    1. 01 대중문화를 움직이는 문화심리와 한국사회
      왜 드라마와 대중가요는 유치한가?
      합리적인 사람은 스포츠가 재미없다 - 미국이 월드컵에 냉담한 이유는?
      시어머니가 왜 더욱 순결에 매이는가?
      각종 “∼데이” 선물의 심리학 - 성년의 날의 강박 심리와 물신의 강림
      통통한 여성을 싫어하는 문화심리
      왜 한국인들은 일본의 본질을 알려 하지 않을까?
      쿨 어법이 호응받는 심리
      과연 한국은 피부색이 다르다고 폄하하는 국가인가?
      비키니는 해방을 입는 것이다?
      종각 역에서 사람들은 왜 그를 구했을까? - 이럴 때 사람들은 절대 도와주지 않는다
      히딩크 귀화 심리와 사회문화 - 정신분석 히팅크 귀화 심리의 이면
      원조 교제의 심리 왜 남성들은 원조교제를 할까?

      02 영상 미디어와 한국인의 문화심리
      성공을 위한 약자의 사회심리
      왜 ‘툭하면’ 옥탑방일까? - 옥탑방의 심리
      한국인들의 영어발음 논쟁의 심리
      ‘왕싸가지’가 선호되는 심리? - 싸가지의 철학
      악녀의 철학 악녀가 각광받으면서도 버려지는 이유
      영상은 북한 출신 여성을 어떻게 그릴까?
      항상 등장하는 ‘미디어 사투리’ 법칙에 관한 짧은 풍경
      한국에서만 첼로는 부와 성공의 상징?
      어떤 세일즈맨이 성공하냐?
      개그 프로! 경쟁의 심리냐, 협업 시스템이냐
      불행을 감동으로 형상화하는 공익 프로그램의 심리 1
      불행을 감동으로 형상화하는 공익 프로그램의 심리 2
      오히려 사람을 바보로 만드는 심리 프로그램
      ‘블랑카’는 과연 한국인들을 비판했을까?
      방송이 책읽기 캠페인을 해서는 안 되는 공공성 심리 - 공공성 프로그램의 겉과 속
      비행(?) 청소년을 다루는 프로그램의 심리
      ‘속죄 프로그램’의 성장과 쇠퇴의 매커니즘

      03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심리
      한국 드라마의 ‘릴리스’ 콤플렉스
      가족주의 드라마에 담긴 심리, 과연 무엇을 담고 있나?
      눈물을 먹고 사는 한국 드라마 - 신(新)신파의 사회적 심리
      왜 남자들은 김삼순을 싫어했을까? - 집단적 나르시시즘의 드라마 사회학
      김수현 드라마와 한국인의 심리 따뜻한 중산층 대가족 드라마의 생리
      한국 드라마 속 재벌가 아버지는 왜 모두 가부장형인가
      트렌디드라마의 배경은 꼭 기업이다 - 기업 콤플렉스에 걸린 한국 드라마
      완전한 신데렐라 콤플렉스 드라마가 없는 이유 - ‘신분 상승 노이로제’ 분석
      한국 드라마에는 툭하면 기획실장이 등장하는 까닭 - 빈번한 기획실장 설정의 심리
      어머니가 없는 사극
      드라마 속 ‘아이’가 상징하는 몇 가지
      시험은 능력 있는 자를 쫓아낸다 - 요건이 엄격할수록 무능력자가 합격한다?
      약자가 반드시 승리하는 심리전략?
      불량 선생님이 많아야 하는 이유 - 선생님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이중 심리적 괴리
      왜 ‘공주, 신데렐라’ 아닌 ‘3순’ 신드롬일까?
      당당녀 증후군과 드라마
      드라마의 고질병 왜 계속되나 - 호모티비쿠스와 드라마의 고질병

      04 스타를 둘러싼 문화적 심리현상
      물의 일으킨 스타의 복귀와 ‘베르테르 효과’
      문근영 신드롬에 담긴 한국 사회의 심리
      ‘옥주현 상품 미학’의 이데올로기
      전인권은 왜 슈렉이 되지 못했을까?
      내 여자라니까?
      성차별보다 무서운 비만 차별
      마른 체형 인간 우월 사회
      가수 비는 왜 아줌마들도 좋아하나? - 가수 비 이미지의 심리적 분석
      심은하 결혼을 둘러싼 한국인의 심리
      오락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조연의 필수 이미지 - 조연의 사회심리

      05 영화를 움직이는 문화심리
      무엇이 다스 베이더를 만들어 내는가? - 악당은 선한 사람의 마음이 만든다
      목표를 향한 인간의 세 가지 행동 심리
      서양인과 한국인들이 원하는 일본 여성 이미지 - 한국영화·드라마 속 일본 여인상
      ‘몸’으로 일본에 추월하려는 한국 영화 - 〈바람의 파이터〉와 〈역도산〉의 또 다른 이데올로기
      할리우드 영화에서 수사반장은 왜 끊임없이 먹나
      성생활 탐구 영화 〈킨제이 보고서〉는 왜 섹슈얼하지 않지?
      휴전선 휴머니즘 영화의 나르시시즘
      모든 것은 네 마음이 흔들린 탓인데…… - 영화 속 자기 합리화와 방어기제
      영화 속 이빨, 성격(Social Character)을 이렇게 변화시킨다
      할리우드 영화의 미국 문화 세계중심화
      할리우드 영화, 보스니아 내전의 팝콘화
      싸우는 방법의 수련기, 그 심리적 차이 〈말죽거리 잔혹사〉와 〈싸움의 기술〉
      한국 귀신영화, 여자 귀신이 많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