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한 서사를 배우들이 채우다 아버지와 아들은 숙명의 애증관계일 수밖에 없는 것일까. 프로이트는 오디이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어머니를 두고 경쟁관계라고 했다. 성적인 면에 초점을 두었던 프로이트였다. 이는 특정 대상에 대한 특히 생물학적인 여성을 욕망하는 남성, 수컷들의 경쟁이었다. 하지만 생물학적인 면에서 복제와 탈복제의 관계다. 아들은 복제의 대상이다. 자신의 분신으로 만들려고 한다. 다만 똑같이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 보다 좀 더 나은 존재를 만들려고 한다. 가장의 이름으로 아빠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상황에서 유아기의 아들은 아버지의 복제프로그램에 따른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면 오래지 않아 팔로워 행위를 그만두게 된다. 성취감은 자신의 '자존'에 해당되는 일이었다. 아버지의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