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논평

[시사와 문화]여성 엔터테이너의 슬픔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1. 2. 13. 20:15

[시사와 문화]여성 엔터테이너의 슬픔

‘분장실의 강선생님’

‘분장실의 강선생님’.
KBS <개그콘서트> ‘분장실의 강 선생님’은 이름을 그대로 보면 강 선생님-강유미가 중심이어야 한다. 강유미는 후배들에게 부드럽고 여유로운 선배다. “니들이 수고가 많다”라며 고생이 많은 후배들을 다독이거나, 혼을 내는 안영미에게 “야야~ 놔둬라. 요즘 애들이 뭘 알겠니”라며 후배들의 편을 들어준다. 하지만 실제 중심은 강유미가 아니다. 대중이 동일시하며 감정이입을 하는 이는 선하고 최고선임인 강유미나 약자이자 막내인 정경미·김경아가 아니라 악당(?) 안영미다.

왜 그럴까? 이 개그 꼭지가 조직의 권력관계를 그렸다면, 안영미는 중간관리자의 심리를 시원하게 대리충족시켜주고 있기 때문이다. 안영미가 선배와 후임에게 던지는 말과 행동은 조직·사회관계 속 가학성-피가학성의 이중적인 심리를 잘 보여준다. 즉 강한 자에게 아부하고, 약한 자에게 군림하며 개체적 즐거움은 물론 존재 기반을 유지한다. 특히 유행어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말은 “영광인 줄 알아 이것들아”, “똑바로 해 이것들아~”이다. 여기에 공통으로 들어간 단어는 ‘이것들아’다. ‘이것들아’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존재를 가리킨다. 자기가 통제력을 발휘해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이런 자기 통제력을 발휘할수록 사람은 재미-쾌감을 느낀다.

하지만 실제 조직에서는 자신보다 하급자라 해도 마음대로 이런 단어를 사용할 수 없다. 대중은 안영미가 속시원하게 ‘이것들아’라고 말해주니 대리충족감을 느낀다. 이런 속시원함을 선사하는 말은 또 있다. “미친 거 아냐?!” “완전 어이없다!”가 그것이다. 이러한 풍경을 남성의 군대조직과 비교하는데 그것은 의미가 적다. 여성들의 인간관계와 조직심리를 잘 보여주는 개그가 없는 점을 생각하면, ‘분장실의 강 선생님’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안영미 동일시’ 현상을 볼 때 현대인들은 지주와 소작농 사이에서 마름과 같은 존재들이다. 최고 권력자는 큰소리치거나 악인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아도 되고, 약자들은 보호받을 수 있지만, 오로지 자기 힘으로 거친 자본주의 사회를 헤쳐가며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중간자적 존재들은 “어쩔 수 없어~ 세상의 이치야~”라며 이중적인 존재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정작 간과된 포인트는 여성 엔터테이너의 슬픔이다. 예쁜 것들은 스폰서를 물기라도 해야 하고, 얼굴이 생기다 만 것들은 자기 몸을 망가뜨려야 한다. 조혜련이 골룸으로 대중적으로 각인되었듯이, 그 능력에도 존재감이 없던 안영미도 골룸을 비롯한 이른바 참혹한 캐릭터를 통해 망가져서야 대중적으로 각인되었다. ‘분장실의 강 선생님’의 4인방은 갈수록 참담한 변장으로 치우친다. 여성 연예인이 살아남는 길은 노예가 되거나 망가지는 것이다. “미친 거 아냐?!, 한국사회, 완전 어이없다!”

김헌식<문화평론가>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