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책

대중문화 심리 읽기-(김헌식, 2007)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1. 7. 29. 12:23
대중문화 심리읽기
김헌식 | 출판사 : 울력
  • 2007년 03월 10일 출간 | 316쪽 |

    책소개

    대중문화를 눈에 보이는 현상 자체가 아닌 그 뒤에 감춰진 심리를 중심으로 살펴본 책.『대중문화 심리읽기』는 '트렌드와 대중문화 심리', '방송과 미디어 심리', '인터넷과 디지털 문화 심리' 등 3개 부분으로 나누어 대중문화 속에 숨겨진 다양한 심리와 이를 바탕으로 벌어지는 현상들을 살펴본다.

    한 때 'B형'을 오해하게 만들었던 혈액형 신드롬을 시작으로 안티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이순신 신드롬과 종족 우상, 개그 유행어에 비친 한국 사회의 집단 무의식, 리얼리즘이 아닌 판타지 영웅의 시대, 솔루션 프로그램의 각광, 기사에 리플을 다는 이유 등을 인간의 심리를 바탕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다.
    추천도서|

    문화관광부 교양추천2007 > 사회과학

    목차

    1. 머리말:문화 그리고 심리

      Ⅰ. 트렌드와 대중문화 심리
      혈액형 신드롬과 바넘 효과
      공포, 호러 문화와 그 속의 심리
      사람들은 왜 첫사랑을 잊지 못할까
      패러디, 유쾌한 전복의 심리
      왜 판타지를 보는가
      악녀를 영원 불사케 하는 문화 심리
      촌티 코드의 최첨단
      색채, 마력인가 과학인가?
      파란색 추리닝
      대중문화 속 경찰의 이미지 변천사
      경쟁과 디지털 시대, '키덜트' 탄생의 이면
      팬픽을 만드는 팬덤 심리
      안티도 기본 정신이 있다
      애니메이션으로 본 현대 일본인의 정체성
      조폭을 원하고, 조폭을 움직이는 심리
      대중문화 흥행의 책, 팩션을 움직이는 힘
      고고한 여성들을 벗겨 내는 이유
      순수 증후군에 빠진 대중문화
      수상 소감이 마음을 울리려면
      병영 체험 중독증
      정보화 시대, 뭔가 확실한 걸 보여 드립니다?

      Ⅱ. 방송·미디어 심리
      'ME' 보다 'I'를 강조하는 대중문화의 나르시시즘
      멜로드라마에는 왜 사투리를 쓰지 않을까
      역사 드라마 붐을 일으킨 한국인의 심리
      왕자와 신데렐라, 첫눈에 반하지 않는다
      장애인 캐릭터는 왜 항상 순수하고 착하기만 한가?
      개그 유행어에 비친 한국 사회의 집단 무의식
      이순신 신드롬과 종족 우상
      음식 문화에 사람의 마음이 없다?
      TV속 맛 집은 정말 맛있을까?
      싱글족 사냥하는 크리스마스
      7080 문화는 왜 부활했나
      개그는 셋이 좋아?
      리얼리즘의 영웅 '장길산'을 버린 판타지의 영웅시대
      솔루션 프로그램은 왜 각광 받나

      Ⅲ. 인터넷과 디지털 문화 심리
      미니 홈피를 움직이는 심리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공진화:디지로그
      블로그,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리플은 왜 다는 거니?
      MS를 노리는 웹2.0의 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