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논평

뇌가 섹시한 남자가 좋아!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5. 4. 19. 00:21
기사 인쇄 하기

SMART is NEW SEXY

뇌가 섹시한 남자가 좋아!주간동아 | 구희언 기자 | 입력2015.03.16. 17:11

기사 내용

'나는 사나이/ 점잖아 보이지만 놀 땐 노는 사나이/ 때가 되면 완전 미쳐버리는 사나이/ 근육보다 사상이 울퉁불퉁한 사나이/ 그런 사나이.'(가수 싸이, '강남스타일' 중)

요즘 여자들의 이상형은 근육보다 사상이 울퉁불퉁한 '뇌섹남'이다. 뇌섹남은 '뇌가 섹시한 남자'라는 뜻의 신조어. 2013년 영국 잡지 '엠파이어'에서 '세계에서 가장 섹시한 남녀 배우' 50인을 각각 선정했는데, 남자 배우 1위는 BBC 인기 드라마 '셜록'의 주연 베니딕트 컴버배치였다. 그가 쟁쟁한 미남 배우들을 물리치고 1위를 차지한 이유를 잡지에서는 '영리함'으로 파악했다. 국내에서도 이처럼 '뇌가 섹시한 남자'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방송이나 온라인에서 대표적인 뇌섹남으로 언급되는 이들은 케이블채널 tvN 서바이벌게임 프로그램 '지니어스'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한 전 프로게이머 홍진호, 개그맨 장동민 외 칼럼니스트 허지웅과 김태훈, 평론가 진중권, 가수 유희열과 성시경 등이다. 이름이 알려진 유명인이라는 것 외에는 닮은 점이 전혀 없는 이들은 '뇌가 섹시하다'는 수식과 함께 대중의 입에 오르내린다.



↑ ↑ 인상적인 언변이나 활약 덕에 '뇌섹남'으로 통하는 유희열, 김태훈, 장동민(왼쪽부터).

↑ 인상적인 언변이나 활약 덕에 '뇌섹남'으로 통하는 유희열, 김태훈, 장동민(왼쪽부터).

스펙 최강 '엄친아'와는 달라



↑ ↑ '뇌섹남' 트렌드를 반영한 케이블채널 tvN 신규 예능프로그램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 '뇌섹남' 트렌드를 반영한 케이블채널 tvN 신규 예능프로그램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아름다운 근육에는 일정한 기준이 있을 지언정 엑스레이를 찍거나 두개골을 쪼개 볼 수도 없는 상황에서 아름다운 뇌의 기준은 뭐란 말인가. 작정하고 노력해 신체적 섹시함을 만들어 '섹시남'이 될 수는 있겠지만, 뇌섹남은 말 그대로 '뇌'의 섹시함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뇌섹남은 단순히 공부 잘하는 반듯한 '모범생'도 아니고, 스펙 넘치는 '엄친아'(엄마 친구의 아들)와도 결이 다르다. 말발이 세다고 뇌섹남이 될 수도 없다. '뇌가 섹시한 남자'라는 말을 대중화했다고 주장하는 팝 아티스트 낸시랭은 과거 인터뷰와 방송에서 "뇌가 섹시한 남자가 좋다. 뇌가 섹시한 사람은 센스, 위트, 인류애가 있는 남자"라며 현대 여성이 뇌가 섹시한 남자를 좋아하는 이유로 "스마트할 뿐 아니라 내면적으로 퓨어해 사랑하는 사람에게 최선을 다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 tvN '더 지니어스 : 게임의 법칙'에서 비상한 두뇌 플레이를 보여준 전 프로게이머 홍진호.

↑ tvN '더 지니어스 : 게임의 법칙'에서 비상한 두뇌 플레이를 보여준 전 프로게이머 홍진호.

뇌섹남이 뜨는 트렌드를 반영해 이들을 전면에 내세운 프로그램도 생겨났다. 최근 방송을 시작한 tvN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출연자들은 아이큐 148, 카이스트 박사 과정, 멘사, 영국 유학생, 미국 시카고대 졸업, 공대 수재, 97학번 취업깡패 등 화려한 키워드를 달았다. 방송인 전현무와 타일러 라쉬, 배우 하석진과 김지석, 페퍼톤스 멤버 이장원, 방탄소년단 래퍼 랩몬스터 등 활동 분야는 다르지만 공통점은 알아주는 '브레인'이라는 점이다. '뇌섹시대' 이근찬 PD는 "뇌섹남의 기준은 여러 가지겠지만 섭외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긴 건 '자기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리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12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뇌섹남 자가진단'을 진행했는데 항목 중에는 준수한 외모, 반전매력 유무 등도 있었지만 얼마나 논리적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자기주장을 관철할 수 있느냐가 결정적 조건이었다. 특히 여기에 유머감각까지 겸비한다면 진정한 뇌섹남일 것"이라고 말했다.

뇌섹남보다 먼저 유행한 말이 있다. 뭐든 나보다 잘한다는 '엄친아'다. 뇌섹남도 큰 틀에서는 엄친아와 다르지 않지만, 좋은 학교를 나와 좋은 직장에 들어가 승승장구 하는 보편적 고(高)스펙자가 엄친아라면 뇌섹남은 거기에 자신만의 색을 입힌다.

대중문화평론가인 김헌식 동아방송예술대 교수는 "뇌가 섹시한 남자는 본능적으로 매력적인 감각을 가졌으면서도 지적인 면이 있다. 너무 교양만 있어도 매력이 없고, 예능감에 지적 매력도 있는 남자들이다. 최근 뇌섹남이라 불리는 이들은 대부분 9할의 예능감이 있으면서 지적인 매력을 어느 정도 보여준다"고 말했다.

"뇌섹남은 일종의 재미있는 남자입니다. 엄친아 요소도 있지만, 엄친아는 같이 있을 때 나를 주눅 들게 하고 위축감이 들게 하는 캐릭터라면, 뇌섹남은 남을 더 배려하고 친근하며 예능감이 있죠. 평소에는 재미있다가 결정적일 때 지적 매력을 발산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객관적인 스펙이 좋은 방송인 전현무 씨도 마냥 '엄친아' 이미지만 밀었다면 지금처럼 인기가 없었을 겁니다."



↑ ↑ 크로스섹슈얼의 대명사 이준기, 까칠한 도시 남자 열풍의 주인공 현빈, 최근 만능 주부 이미지로 인기를 끄는 차승원(왼쪽부터).

↑ 크로스섹슈얼의 대명사 이준기, 까칠한 도시 남자 열풍의 주인공 현빈, 최근 만능 주부 이미지로 인기를 끄는 차승원(왼쪽부터).

지능보다 지혜 먼저

남녀 불문 외모 출중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마다할 이유가 있을까.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장은 "외모와 능력은 여성의 이상형에서 시대를 초월해 늘 손꼽혀온 부분이다. 능력 중심에는 결국 고학력이나 똑똑함이 들어 있다. 요즘 말하는 뇌가 섹시한 남자는 생각이 바른 사람, 즉 지적이면서 배려심도 있는 사람을 뜻한다"며 "매스미디어에서 다루는 뇌섹남은 방송에 담아내기 쉽게 퍼즐이나 문제를 잘 푸는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핵심은 세상 돌아가는 걸 비판할 줄 알고, 공사를 구분하며, 정의가 뭔지 주장하거나, 여자에게 져줄 줄도 아는 배려심이 있는 지혜로움"이라고 말했다.

"여자가 뇌가 섹시한 남자를 찾듯, 남자도 뇌가 섹시한 여자를 찾습니다. 남녀 모두 서로를 잘 배려하고, 소통이 잘 되며,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여기고, 정서적·감정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상대를 찾는 거죠. 중요한 건 사회적 스펙의 중요성을 버린 게 아니라, 기본적인 스펙에 추가로 생각까지 멋지고 현명한 사람을 요구한다는 점입니다. 여성은 고학력화와 사회 진출 확대로 남성에게 의존하기보다 주체적인 존재이길 원하고, 자기보다 잘난 남자가 아닌 평등한 인격체이자 대화가 잘 통하는 남자를 원합니다. 그런 여자에게 뇌섹남은 원하는 조건을 갖춘 남자인 셈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