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미래연구

미래 세계 4가지 변화…2050년 패권 국가는 중국·인도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1. 12. 21. 01:25

미래 세계 4가지 변화…2050년 패권 국가는 중국·인도

30년 전 인구 3만명의 어촌이던 중국 선전은 경제 성장에 힘입어 현대식 도시로 탈바꿈했다.
‘세계의 패권이 중국과 인도 손으로 넘어가고, 세계가 저출산·고령화에 시달리는 일본의 모습을 따라가게 될 것이다’.

일본 경제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최신호(10월 3일자)에서 세계의 미래를 바꿔놓을 4가지 조류를 분석했다. 2085년 세계 인구 100억명 돌파, 2050년 중국·인도의 세계 패권 장악, 식량·에너지 고갈에 따른 위기 도래, 세계의 ‘일본화(저출산·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 흐름이다.

국제연합(UN)이 지난 5월 발표한 ‘2010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68억명이었던 세계 인구는 2085년 처음으로 100억명을 돌파한다. 급속한 인구 증가의 가장 강력한 추진체는 아프리카. 2050년 세계 인구 순위를 예상해보면 나이지리아 3위, 탄자니아 5위, 콩고 8위 등 아프리카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한다. 2100년에는 아프리카 인구가 세계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게 된다.

현재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국은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2025년 이후 인구가 급속히 감소한다. 2100년까지 인구 감소율은 32.5%. 일본보다 더 높은 감소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인도 역시 2060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로 돌아선다.

골드만삭스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한 중국은 2027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대국으로 부상한다. 인도도 2050년께 미국과 맞먹는 경제대국이 된다. 반면 일본은 세계 GDP의 3%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영향력이 약화될 전망이다. 21세기 국가의 성장을 지탱하는 ‘인구’와 ‘천연자원’을 갖지 못한 20세기 선진국들의 존재감은 약화되고, 중국·미국·인도를 축으로 한 ‘3극(極) 시대’가 열린다.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식량과 에너지 고갈을 야기할 전망이다.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곡물 수요는 2050년 30억톤에 이른다. 선진국과 구(舊) 공산권 국가들 수요는 그다지 크게 늘어나지 않겠지만 중국과 인도로 대표되는 개발도상국의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인구 폭발’로 곡물을 자급자족할 수 없게 된 개발도상국은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으로부터 곡물을 대량 수입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그 양은 전 세계 곡물 수요의 6분의 1인 3억톤에 이를 전망이다.

식량·에너지 가진 나라가 패권도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해 내놓은 예측에 따르면 전 세계 에너지 수요는 석유로 환산했을 때 2008년 123억TOE(석유환산톤)에서 2035년 167억TOE로 늘어난다. 중국 에너지 수요는 같은 기간 동안 75% 증가한다.

식량과 에너지를 다른 나라에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을 가진 나라에 패권도 함께 따라온다. 이것이 미래 세계의 모습이다.

미래 세계의 또 다른 모습은 ‘일본’이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전 세계적으로 번지면서 일본화(日本化)를 피할 수 없게 된다. UN 통계를 보면 생산가능연령 인구 비율은 미국의 경우 2005년, 유럽은 2010년에 이미 정점을 찍었다. 1990년에 일찌감치 정점을 지난 일본의 뒤를 좇아 15~20년 만에 주요 선진국들이 일본화된 셈이다. 신흥국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은 2015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고령화되고 21세기 후반에는 생산가능연령 인구 비율이 미국이나 유럽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인도는 2040년까지 생산가능연령 인구 비율이 상승세를 이어간다. 하지만 그 비율이 최고조에 이르더라도 과거 일본이나 중국이 기록했던 최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고령화는 각국 재정을 위태롭게 한다.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뿐 아니라 유럽 각국은 사회보장비용을 메우기 위해 부가가치세율을 높이는 등 가능한 방법으로 손을 쓰고 있지만, 더 이상 국민 부담을 늘릴 수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중국이나 인도는 사회보장제도조차 정비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Nikkei Businessⓒ 10월 3일자 기사 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