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김새론처럼 누구나 될 수 있다. Anyone can be like Kim Sae-ron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25. 2. 19. 13:15

김새론처럼 누구나 될 수 있다. 

 

Kim Hern-sik, Special Appointment Professor, Jungwon University, Ph.D. in Cultural Information Contents. cultural critic

 

김새론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고가의 집과 여러 대의 차를 공개했고, 2022년 음주운전 당시 외제 차를 몰아서 손가락질의 대상이 됐다. 하지만 실제는 달랐다고 한다. 그 집은 소속사 명의의 전셋집이었고, 김새론의 소득은 모두 부모님의 사업자금과 생활비로 쓰여서 차 한 대가 유일한 재산이었다고 한다. 음주운전으로 김새론은 광고 기업주들에게 위약금을 물어 줘야 했고,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빚을 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상황에서 빚은 물론 활동조차 못 하게 됐으니 생활비조차 카페에서 아르바이트해야 했다.

 

Kim Sae-ron revealed her expensive house and several cars on an entertainment program, and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for driving a foreign car during a drunk driving incident in 2022. But it is said that the reality was different. The house was a rented house in the name of the agency, and all of Kim Sae-ron's income was used for her parents' business funds and living expenses, so her only asset was a car. Due to drunk driving, Kim Sae-ron had to pay a penalty to advertising business owners, and it is known that she owed hundreds of millions to billions of won. In that situation, not only was I in debt, I couldn't even work, so I had to work part-time at a cafe to even make ends meet.

 

막대한 빚과 그것을 갚을 수 없는 상황에서 쏟아지는 온갖 비난은 어둠의 끝을 가늠할 수 없게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김새론의 안타까운 죽음은 유명인에 대한 대중적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이 빚은 비극이었다.

 

It is presumed that the huge debt and all the criticism coming from the situation where it could not be repaid made it impossible to predict the end of the darkness. Kim Sae-ron's unfortunate death was a tragedy caused by public information asymmetry about celebrities.

 

우리 사회에서는 물의를 일으킨 사람에 대해서는 심한 말이나 행위를 해도 된다는 생각이 만연하다. 정의의 실현을 위해서 응징, 척결해야 한다고 여긴다. 이러한 논리와 맥락의 콘텐츠를 SNS에서 내쏟으며 당사자에게 압박을 매우 가혹하게 한다. 악플은 물론이고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그대로 옮기거나 공유한다. 여기에는 자신이 옳고 선한 쪽이라는 신념이 작용한다. 모두 확신범이 되기 쉬운 환경이다.

 

In our society, the idea that it is okay to say or do something harsh to someone who has caused trouble is widespread. I believe that punishment and eradication are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Content with this logic and context is released on social media, putting very harsh pressure on the parties involved. They transfer or share unverified information as well as malicious comments. The belief that one is right and good comes into play here. This is an environment where everyone can easily become a conviction criminal.

 

 

확신범(確信犯, Überzeugungsverbrechen)은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인 믿음으로 저지르는 범죄 또는 저지른 범인을 말한다.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는 어느 때보다 확신범의 창궐이 일어난다. 그들은 위법이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그것에 대해 잘못이라는 인식이 없고, 당연한 가치의 실현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이전에 문화적으로 옳은 일이라고 해도 문화적 인식은 바뀌기 마련이다.

 

A crime of conviction (Überzeugungsverbrechen) refers to a crime committed or a criminal committed based on moral, religious, or political beliefs. In the smart mobile environment, criminals are more prevalent than ever. They do not know that it is illegal or have no awareness that it is wrong, and think that it is a realization of natural value. Even if something was culturally correct before, cultural perceptions tend to change.

 

예컨대 사랑의 매라며 훈육하는 아이들에게 매질하는 부모와 교사는 더 이상 용인되지 않는다. 연예인이나 스타, 유명인에게 쏟아지는 비난도 마찬가지다. 문화적 가치는 변하고 시대정신에 부합해야 한다. 이름이 알려진 사람이라고 해도 무조건 비난을 감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도 인권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죄를 지었다면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아야 하고 도덕적 윤리적 태도도 요구될 수 있다. 하지만 적절한 수위와 범위의 조절과 한정이 필요하다. 한 번의 잘못 때문에 영원히 고통을 받을 수는 없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않아야 한다.

 

For example, it is no longer acceptable for parents and teachers to spank their children, calling it a whipping of love. The same goes for criticism directed at celebrities, stars, and famous people. Cultural values ​​must change and match the spirit of the times. Even if you are a well-known person, you do not necessarily have to endure criticism. Because they also have human rights. If a person commits a crime, he or she must be punished accordingly and a moral and ethical attitude may be requir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rol and limit the appropriate level and range. You can't suffer forever because of one mistake. You must hate sin, but not people.

 

 

김새론의 경우 생계를 위해서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이조차 SNS에 공유돼 일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퇴사를 강요당했다. 영화나 연극 활동 재개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들이 쏟아졌다.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도 기회가 있어야 한다. 일 자체를 못 하게 할 수 있는 권리나 권한은 누구에게도 없다. 더구나 지금은 20세기의 매스미디어 시대가 아니다. 그렇기에 그들에 대한 접근이나 관점도 달라져야 한다.

 

In the case of Kim Sae-ron, she worked part-time to make a living, but even this was shared on social media, making it impossible for her to work, and she was forced to resign. There were also negative reactions to the resumption of film and theater activities. Even people who make mistakes should have a chance. No one has the right or authority to stop someone from doing the work itself. Moreover, this is not the mass media era of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approach and perspective toward them must also change.

 

이전의 매스미디어 시대는 일방적인 정보와 지식, 사실의 전달이 많았기 때문에 물의를 일으킨 스타들이나 유명인의 일방적인 활동이 수시로 이뤄지거나 빈번했다. 하지만 지금은 의사 표현의 수단이나 방식이 다양화됐고, 여론이 생물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쉽게 이를 무시하거나 간과할 수 없는 상황과 환경이 됐다.

 

In the previous mass media era, there was a lot of one-sid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facts, so one-sided activities by stars or celebrities that caused controversy were frequent or frequent. However, now the means and methods of expressing opinions have diversified, and public opinion operates like a living organism, so it has become a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which it cannot be easily ignored or overlooked.

 

그러므로 과거의 매스미디어 시대같이 일방적으로 탄환 효과(Bullet Theory)를 보이듯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예컨대 지상파 방송사처럼 무차별적 시청이 가능한 매체는 출연이 억제되거나 금지될 수 있지만 아르바이트나 연극 무대는 그 파급 효과가 다르기에 엄격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cannot influence people unilaterally like the bullet theory of the past mass media era. For example, media that allows indiscriminate viewing,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ers, may have their appearances suppressed or banned, but part-time jobs and theater stages need to be strict because the ripple effects are different.

 

 

특히 소비자 중심의 시장의 원리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 아무리 작품에 출연한다고 해도 수용자인 국민이 받아들일 수 없다면 이후 작품에 더 이상 캐스팅될 수 없고, 자동으로 아웃이 된다. 그렇게 되면 당사자도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김새론은 이러한 과정을 마주할 수도 없이 고통을 받아야 했다.

 

In particular, it must operat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a consumer-centered market. No matter how much you appear in a work, if the audience, the audience, cannot accept you, you can no longer be cast in future works and you are automatically out. In that case, the parties involved can also prepare their minds. However, Kim Sae-ron had to suffer without being able to face this process.

 

포용이나 관용의 미덕이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잘못을 한 사람에 대한 관용과 포용이 매우 부족한 사회에는 누구나 이제 그 희생자가 될 수 있다. 더구나 나이 어리고 여성일수록 집요한 가해 행위가 심하게 이뤄지는 경향이 크다. 아무런 저항을 할 수 없는 이에게 가학 행위는 확신범 수준에서 이뤄진다. 법적 적극적으로 취하는 대형 소속사가 버티고 있었다면 이런 가학 행위들은 훨씬 감소했을 것이다.

 

The virtues of tolerance and tolerance are not being exercised. In a society where tolerance and tolerance for wrongdoers are sorely lacking, anyone can now become a victim. Moreover, the younger the victim and the more female the victim, the more persistent and severe the offense is. Abuse is committed at the level of a criminal conviction against a person who is unable to resist at all. If large agencies that actively take legal action had held on, these abusive practices would have been much reduced.

 

특히 SNS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을 매우 강화한다. 선택적 집중(selective attention)을 통해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적고 싶은 글이나 게시물만 공유한다. 여기에 언론 보도의 부정적인 기능도 한몫한다. 악플이나 가짜뉴스, 루머를 그대로 기사화하거나 보도를 해 버린다. 이렇게 하면 악플러들에게 도파밍(Dofarming)’의 성취감을 제공해 준다. 이렇게 되면 다시 강도 높은 괴롭힘 콘텐츠가 횡행하게 한다. 악순환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In particular, SNS greatly strengthens ‘confirmation bias’. Through selective attention, you see only what you want to see and share only the articles or posts you want to write about. The negative function of media reports also plays a role here. Malicious comments, fake news, and rumors are written or reported as is. This will provide the haters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Dofarming.’ If this happens, intense bullying content will become rampant again. The vicious cycle cannot help but deepen.

 

한국 사회는 미디어 밀집도는 물론이고 사회적 관계가 매우 농밀하다. 따라서 사이버 폭력(Cyberbullying)이 일어나도 미국이나 유럽과 차원이 다른 고통을 가중시킨다. 더구나 개인주의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사회 속에서 자신의 평판이나 입지가 무너지게 되면 존재 자체가 붕괴하는 사회이다. 즉 같은 악플이나 루머라 하더라도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강력하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언제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가야 이런 죽음이 행렬이 멈출지 의구심이 든다. ‘오징어 게임의 대사처럼 이러다 정말 다 죽는다는 말이 공유될 만한 상황이다.

 

Korean society is not only dense with media, but also has very dense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even if cyberbullying occurs, it adds to the suffering on a level that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Moreover, because it is not an individualistic society, it is a society in which existence itself collapses when one's reputation or standing in society collapses. In other words, we must consider that even the same malicious comments or rumors are very powerful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 wonder how many people will have to die before this procession of deaths will stop. Like the line in ‘Squid Game,’ it is a situation that can be shared by saying, ‘If this continues, we will all die.’

 

 

확증 편향이라는 왜곡된 인식의 현상을 넘어서 실제 몸으로 실현하는 확신 범죄 현상이 이 시간에도 이뤄지고 있다. 자신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기준을 가지고 유명인이나 스타들의 과도한 사생활 침해, 인격모독이 이 시간에도 계속되고 있다. 죽음의 행렬은 누구나 다 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인권 의식이나 인권 감수성의 제고라는 점에서 확신범 행위에 관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Even at this time, the phenomenon of conviction crime, which goes beyond the phenomenon of distorted perception called confirmation bias and is realized in reality, is taking place even at this time. Excessive invasion of privacy and personal insults by celebrities and stars with the standard that they are absolutely right are continuing even at this time. Since death processions can affect anyone, special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crimes of conviction in terms of raising human rights awareness and 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