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트인(컬쳐 트렌드 인사이트)

한국인은 왜 학교폭력을 용서하지 않게 되었나.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23. 3. 16. 10:53

Why did Koreans not forgive school violence?

 

글/ 김헌식(KIM HERN SIK, 평론가, 박사. 미래학회 연구학술이사)

 

최근 뉴욕 타임즈가 한국 사회의 학폭에 관해 다루었다. 맞기도 하고 부족한 지적이었다. 제대로 처벌을 받지 않아서 그렇지만, 무엇보다 정보 공유와 여론 형성이 주요했다. 이는 민주 공화주의 원칙이 디지털소통과 만나 가능했다. 한국에서 2대 절대 검증 기준은 병역 기피 그리고 학교폭력이다. 특히 젊은 세대에는 완벽하게 절대적이다. 병역 기피는 남성에게만 해당하지만, 학교폭력은 남녀를 불문한다. 인터넷 모바일 시대가 되면서 정보 공유는 이를 더욱 공고하게 했다. 다만, 이런 학교폭력의 엄격성을 당사자만 모른다. 더구나 많은 심리학 실험들이 증명했듯이 강자인 사람들은 인정하거나 굽히지 않는 법이다.

 

Recently, the ‘New York Times’ dealt with school violence in Korean society. It was both right and wrong. It was because they were not properly punished, but above all, information sharing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were important. This was possible when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republicanism met with digital communication. The two absolute standards for verification in Korea are avoidance of military service and school violence. It is absolutely absolute, especially for the younger generation. Military service evasion only applies to men, but school violence can happen to both men and women. As the Internet mobile era has entered, information sharing has made this even more solid. However, only the parties do not know the severity of this school violence. Moreover, as many psychological experiments have proved, strong people neither admit nor bend.

 

픽션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불문율은 다시 한번 증명이 되었다. 드라마 더 글로리나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보다 검사 아빠 찬스가 더 리얼했기 때문이다. 드라마나 영화처럼 몇 명의 연합이 필요하지도 않았고, 부모 몇 명이 힘을 합치는 것보다 더 강했다. 가해 학생은 최고 진학을 하고 피해자는 정상적인 생활을 못 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했던 것은 검사 아빠 찬스 여부 때문이었다. 국민의 집단적 분노는 폭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학교폭력에 관해 아빠 찬스 이력의 인사 임명은 이제 문화에 학교폭력에 관한 인식이 매우 달라졌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었다. 예전에는 단지 10대 가해자에게 관용적인 측면에서 접근했다. 아이들이 크면서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이 강했다. 다 그렇게 자라는 것이 보편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모바일 미디어와 SNS를 통해서 그 학교폭력의 실태와 피해자의 상처가 공유되면서 문제 인식이 점차 공유되기 시작했다.

 

The unwritten rule that fiction cannot keep up with reality has been proven once again. This is because the chance to become a prosecutor was more realistic than the drama ‘The Glory’ or the movie ‘I want to see your parents’ faces.’ It didn't require a union of several people like in dramas or movies, and it was stronger than a few parents joining forces. It was because of the prosecutor's father's chance that the perpetrator student went to the highest level and the victim could not live a normal life and made an extreme choice. The collective anger of the people was bound to explode. However, the appointment of father Chance's career regarding school violence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culture has changed very much. In the past, it was only a tolerant approach to teenage perpetrators. People had a strong idea that it might be like that as children grow up.

What Koreans think is that it is common for everyone to grow up that way. However, as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and the scars of victims were shared through mobile media and social media, awareness of the problem gradually began to be shared.

 

이를 바탕으로 돼지왕과 웹툰이 크게 성공했고, ‘지금 우리 학교는과 같은 좀비 영화에도 등장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달리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는 더는 특정 지역 학교나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물론 돼지왕에서 보여주었던 계층 간 대물림의 문제는 더 확장되었다. 부와 명예의 욕망을 위해서 사람의 도구화를 지능적으로 구사하는 점이 다를 뿐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는 사회적 추이와 비슷했다.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학부모들이 자신들의 명예와 위신에 자녀의 장래를 생각해 가해 행위를 은폐하고 피해자를 회유, 무마하기 위해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하였지만, 드라마 더 글로리처럼 직접 그 복수를 나서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한 복수는 현실에서 교정과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는 것은 당연한 노릇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폭력 가해자가 아무리 성적이 우수해도 무난하게 합격시키는 입시 제도에 대한 실제적인 개선 요구가 이에 해당한다.

 

Based on this, ‘The Pig King’ and webtoons have been very successful, and they have also appeared in zombie movies such as ‘Our School Now’. Unlike 'Our Distorted Hero', the drama 'The Glory' clearly showed that it is no longer a problem of a particular local school or individual. Of course, the problem of inheritance between classes, which was shown in 'The Pig King', was further expanded. The only difference was that they intelligently used human tools for the sake of wealth and fame. In this context, it was similar to social trends. In the movie 'I want to see your parents' face', the parents mobilized all available resources to cover up the crime and appease the victim, thinking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but like the drama 'The Glory', Getting that revenge isn't easy. It is only natural that such revenge raises voices demanding correction and improvement in reality. This corresponds to a request for practical improvemen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at allows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o pass without difficulty, no matter how good their grades are.

 

트롯 오디션 프로그램의 강력한 우승 후보자였던 황영웅은 학교폭력 논란에도 결선 진출을 강행하다가 국민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최종 하차를 결정했지만, 너무 늦은 감이 있었다. 달라진 학교폭력에 관한 문화적 인식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다. ‘피지컬: 100’에서 한 참여자가 학교폭력 논란이 있게 되면서 본인이 일정한 이상의 행위에 대해서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기도 했는데 피지컬: 100’ 글로벌 명성 자체가 훼손되었다. 이러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명확했다. 단순히 프로그램이 인기가 있다고, 학교폭력 논란 앞에 정당화될 수 없었다. 연예계나 기획사들도 사전에 학교폭력 여부에 관련된 사항을 계약서에 반영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데 방송가에도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반 출연 참여자들에게 더욱 요구되고 있다. 해외 여러 국가에서 학교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면밀하게 하고 있다.

 

Hwang Young-woong, who was a strong candidate for the championship in the trot audition program, faced strong resistance from the people while pushing through to the finals despite the school violence controversy. Because of this, the final decision was made to get off, but it was too late. It is because they did not properly grasp the cultural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that has changed. In ‘Physical: 100’, as a controversy arose over school violence, the participant himself denied the facts about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behavior, but the global reputation of ‘Physical: 100’ itself was damaged. What can be learned from these points is clear. Simply saying that the program was popular could not be justified in front of the school violence controversy.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entertainment companies are also making efforts to reflect matte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in their contracts in advance, but broadcasters are also being asked to take action. In particular, it is more demanding for general appearance participants. In many countries abroad, preliminary investigations are being conducted on schools and officials.

 

한국청소년학회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라면 학교폭력을 당한 학생의 54%가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했고, 13%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 학교폭력을 당하지 않은 학생보다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할 가능성이 2, 극단적인 선택을 2.5배 이상 더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선택이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훨씬 광범위하게 트라우마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 성장기의 민감한 시기에 겪은 일이기 때문에 지속해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만은 아니다. 가해자들이 범죄에 응당한 대가를 받지 않고 승승장구하거나 출세를 하는 일이 비일비재 하기 때문이다. 비교 문화의 역설이 학교폭력에도 작동하기 쉬운 밀집 사회의 특징은 더욱 이러한 학교폭력 고통을 심하게 강화한다.

 

According to a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Youth, 54% of students who suffered school violence thought of an extreme choice, and 13% attempted an extreme choice.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not subjected to school violence were twice as likely to think about extreme choices and attempted extreme choices more than 2.5 times more than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school violence. Extreme choices don't tell the whole story. They suffer from trauma much more extensively. It's not just because it's something I've been through during a sensitive period of growing up, and it's constantly affecting me. This is because it is not uncommon for perpetrators to win or rise in the world without being paid for their crimes. The characteristics of a densely populated society, where the paradox of comparative culture is easy to operate even in school violence, further intensifies the pain of school violence.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유럽의 경우에도 학생 가운데 4분의 1이 학교폭력을 당한 자료도 있다. 이 때문에 보편적 관점에서 우리의 학교폭력 콘텐츠가 주목을 받고 있다. 앞으로 더 문제는 개학과 함께 학교폭력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 코로나 19팬데믹 상황에서 한동안 사이버 공간에서 학교폭력이 증가했는데 이제 대면 폭력과 학교폭력이 같이 증가할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주의할 점도 있다. 학교폭력이 과장되거나 무고하는 경우다. 무죄 추정 원칙을 지키면서 예방책까지 마련해야 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시험대가 지금 개학과 함께 열렸다.

It's not just our country's problem. In the case of Europe, there is also data that a quarter of students have suffered school violence. For this reason, our school violence content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a universal point of view. A further problem in the future is that school violence will increase with the opening of school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school violence has increased in cyberspace for a while, but now the risk of face-to-face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increasing together is grow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something to be aware of. This is when school violence is exaggerated or innocent. A new test bed in the post-COVID-19 era, in which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must be followed and precautions have to be prepared, has now opened with the opening of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