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nny

‘아바타 두통’ 불균형 시각정보 때문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2. 6. 25. 23:38

‘아바타 두통’ 불균형 시각정보 때문
멀미와 비슷…메스꺼움과 어지럼증도 트위터로 보내기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영화 ‘아바타’ 열풍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전국에서 관객 850만 명을 넘어 국내 영화 ‘국가대표’를 넘어서 역대 최다관객 6위에 올랐다. 2D로 볼 때와 3D로 볼 때 어떤 것이 더 재미있는지 비교하려고 이곳저곳의 극장을 도는 ‘폐인’까지 등장했다.

‘아바타’를 3D 영화관에서 본 일부 관객들은 두통과 메스꺼움 뿐 아니라 어지럼증까지 호소하고 있다.

지난 13일 저녁 서울성모병원 응급실을 찾은 윤 모 씨는 ‘아바타’를 보고 집에 가던 중 엘리베이터에서 어지러움을 느끼고 쓰러졌다. 1분 만에 정신을 차렸지만 걱정이 돼 병원을 찾았다. 같은 날 저녁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을 찾은 한 환자는 아바타 두통이라며 구토와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CT촬영 결과 별 이상은 없었다.

현재 3D 입체영상을 보고 생기는 두통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것이 없다. 전문의들은 “불균형한 시각 정보로 뇌가 혼란을 느껴 일어난 두통”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이동수단을 탔을 때 느끼는 멀미 증상과 비슷한 것으로 보는 것. 내이, 눈, 근육과 힘줄에 있는 작은 감지기관들이 뇌에 보내는 신호가 조화를 이룰 때 우리는 균형을 잘 잡고 있다고 느끼는데 이 중 한 두 가지가 조화되지 않으면 뇌는 혼란을 느끼고 멀미가 난다.

중앙대병원 신경과 박광열 교수는 “3D 영상은 양쪽 눈에 들어오는 정보가 달라 눈과 뇌가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혼란이 생기고 두통과 어지럼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미가 차에서 내리면 수그러드는 것처럼 3D 영화를 보고 생긴 두통도 시간이 지나면 가라 앉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이광수 교수는 “편두통 환자는 3D영화를 볼 때 더 두통을 크게 느낄 수 있겠다고 추측할 수 있지만 아직 3D 영상과 두통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는 없기 때문에 뭐라 얘기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3D TV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을 예정이라 3D 영상의 두통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더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볼 사람만 보면 되지만 TV는 훨씬 다수가 일상생활에서 불균형한 시각정보에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