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국가 만들기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인기 비결의 배경과 이면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24. 10. 2. 15:52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인기 비결의 배경과 이면

 

The background and behind the secret of the popularity of ‘Black and White Chef: Cooking Class War’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교수, 정보콘텐츠학 박사, 사회문화평론가) 

 

예능 프로그램의 핵심 코드 가운데 하나는 권위의 파괴이다. 권위적인 사회일수록 더욱 이런 코드가 선호된다. 예컨대 권력자나 직장상사의 허점이나 무능력을 폭로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풍자 코미디에서 이뤄진다. 연장자 내지 선배와 후배 관계일 때 반말을 하거나 가벼운 욕설을 할 경우에 웃음이 유발되기도 한다. 하지 말아야 하는 불문율의 금기를 가볍게 넘나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보통 현실에서는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일수록 더욱 그렇다.

 

One of the core codes of entertainment programs is ‘destruction of authority.’ The more authoritarian a society is, the more preferred this code is. For example, the weaknesses or incompetence of powerful figures or bosses are exposed, which is usually done in satirical comedies. When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n older person or a senior or a junior, laughter may be provoked when the person speaks informally or uses mild profanity. This is why we easily cross the unwritten taboos that we should not do. This is especially true in situations that cannot be achieved in reality.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의 흥미 자극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요리사를 흑수저와 백수저 계급으로 나눈 것은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명예는 물론 권위나 권력이 있고 없음은 서열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흑수저가 백수저 계급에게 도전하고 그에 따라서 누가 그 대결에서 이길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The stimulation of interest in the Netflix entertainment show ‘Black and White Chef: Cooking Class War’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this is why chefs were divided into black spoon and white spoon classes. This is becau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thority or power, as well as honor, means ranking. The black spoon challenges the white spoon class, raising the question of who will win the battle.

 

 

특히, 스승과 제자의 대결이 있다는 점은 단적으로 권위의 파괴에 따른 흥미고조의 선행 조건이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대중심리인데 사실 이러한 흑수저·백수저 계급의 대결에서 대중적인 정서는 언더독을 응원할 만하다. 다만 변수는 이미 인지도를 얻은 백수저 계급들에게 팬덤이 있는 점이다. 결국 언더독이냐, 팬덤이냐 그 대결 심리는 시청률을 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한다. 그 대결에서 승부의 판단 기준은 오로지 맛에 있는데, 이를 통해 이 프로그램은 객관성·합리성의 공정함을 강조한다.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re is a confront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is a prerequisite for heightened interest due to the destruction of authority. What is important here is public psychology, and in fact, in this confrontation between black spoon and white spoon classes, popular sentiment is worth cheering for the underdog. However, the variable is that there is a fandom among the unemployed class who have already gained recognition. In the end, the psychology of competition between underdogs and fandom serves as a driving force in raising viewership ratings. In the competition,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winner lies solely in taste, and through this, this program emphasizes the fairness of objectivity and rationality.

 

 

그런데 그 공정함을 내세우는 프로그램의 정점은 요식업 경영에 있다. 최종 2인의 심사위원을 요식업계에서 최고 단계에 있다는 인물로 설정한 게 이를 단적으로 나타낸다. 요식업은 사실 혼자가 아니라 집단적 운영을 통해서 이뤄진다. 이 점을 반영한 이 프로그램에서 개인별 대결만이 아니라 집단적 팀 대결이 흥미를 자아내는 이유는 리더의 역할이 좌우하기 때문이다.

 

However, the peak of the program that promotes fairness is in restaurant business management. This is clearl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final two judges were selected as people at the highest level in the restaurant industry. In fact, the restaurant business is not operated alone, but through collective operations. In this program that reflects this, the reason why not only individual competitions but also collective team competitions are interesting is because the role of the leader determines it.

 

특히 식당을 운영할 때 수석 요리사의 역할이 중요한 점은 이미 알려질 만큼 알려졌다. 이러한 리더의 탄생도 시청자의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역설적으로 같은 흑수저라고 해도 리더라는 또 하나의 계급이 생기는 셈이다. 리더에 따라서 식당의 성패가 좌우될 수 있으니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In particular, the important role of the head chef when running a restaurant is well known. The birth of such a leader can also be a point of interest for viewers. Paradoxically, even with the same black spoon, another class called leader is created. Since the success or failure of a restaurant can depend on the leader, it seems natural for it to be an important standard.

 

대결의 승리자는 요식업의 특성과 맞물려 냉혹한 기준과 맞물리게 된다. 생존 서바이벌 형식을 취하는 것이고 판정 기준이 거두절미 맛에 귀결되는 것이다. 취미로 요리를 할 수도 있고, 친환경으로 건강하며 독창적인 레시피를 선보일 수 있지만, 결국 장사가 될 만한 요리 실력을 평가한다. 요리 실력을 이 프로그램에서 맛으로 요약하는 배경이다.

 

The winner of the competition will be subject to ruthless standards,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taurant industry. It takes a survival survival format, and the judging criteria boils down to the taste of the best rice. You can cook as a hobby, or you can show off eco-friendly, healthy, and original recipes, but in the end, we evaluate your cooking skills to become a business. This is the background of cooking skills being summarized in taste in this program.

 

 

그런데 이 맛이라는 것은 식당 경영의 비즈니스 모델 성공과 결부된다. 따라서 다수주의의 틀 안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맛을 구현할수록 우승자가 되고, 기존의 권위를 뒤집을 수 있다. 이렇다면 프랜차이즈 모델의 승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많은 사람이 찾는 평균의 맛이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갈수록 개성이 다양화되는 현실의 상황에서 절대 요리 승자를 판가름하는 것에 대한 의문은 여전할 수 있다.

 

However, this taste is tied to the success of the business model of restaurant management. Therefore, it is likely to be within the framework of majoritarianism. The more you realize a taste that more people like, the more likely you are to become a winner and overturn existing authority. If this is the ca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ranchise model will win. This is because the average taste that many people seek can work. However, in a reality where personalit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questions about determining the absolute winner in cooking may still remain.

 

하버드 대학 실험심리학 박사였던 하워드 모스코비츠(Howard Moskowitz)는 스파게티 소스와 콜라의 절대 비법을 찾아달라는 의뢰에 관해 오랜 연구 끝에 한가지 답을 내렸다. 절대적으로 맛있는 단 하나의 비법은 없다는 것이었다. 같은 스파게티와 콜라여도 다양하게 입맛에 맞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국에서는 미슐랭 식당이 절대적으로 찬탄의 대상이 되지만, 뉴욕의 미슐랭 스타 식당이 폐업을 연이어 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천하의 미슐랭조차 그렇다. 아무리 백종원 프랜차이즈가 화제가 되어도 시장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평가를 받는 것이 현실이다.

 

Howard Moskowitz, who had a doctorate in experimental psychology at Harvard University, came up with one answer after a long period of research when asked to find the absolute secret to spaghetti sauce and cola. There was no single secret to making it absolutely delicious. H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it to suit different tastes, even if it is the same spaghetti and cola. In Korea, Michelin restaurants are absolutely admired, but there were also reports that Michelin star restaurants in New York are closing down one after another. Even the world's Michelin is like that. No matter how hot the Baek Jong-won franchise becomes, the reality is that it receives different evaluations in the market over time.

 

 

, 맛을 평가하는 사람들은 백수저도 요식업 경영자도 아니고 일반 식당의 이용자들인데, 그 이용자들의 음식 기호나 취향은 각각 다를 뿐만 아니라 쉽게 변화한다는 점이다. 정말 요리가 생명력을 가지려면 그 음식을 먹는 사람의 기호와 취향 그리고 니즈가 반영되어야 한다.

 

In other words, the people who evaluate the taste are not unemployed people or restaurant managers, but regular restaurant users, and the food preferences and tastes of those users are not on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lso easily change. For a dish to truly have vitality, it must reflect the tastes, tastes, and needs of the person eating the food.

 

요리 서바이벌의 근본적인 한계는 여기에서도 비롯할 수 있다.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포맷은 노래와 춤, 퍼포먼스를 볼 수 있지만, 요리 경연이나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맛은커녕 향기조차 느낄 수 없다. 그렇다면 시청자도 참여할 수 있고 그들을 대변하는 이들이 가장 대표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 과제가 여전할 수밖에 없다.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cooking survival can also originate here. In the music audition program format, you can see singing, dancing, and performance, but in cooking contests or survival programs, you can't even feel the scent, let alone the taste. If so, the task of ensuring that viewers can participate and that those who represent them be the most representative remains.

 

맛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이들은 맛을 모르기 때문에 실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요리사들의 식당을 방문해 경험하려 한다. 희한하게도 일찍 떨어진 탈락자의 식당도 방문하고 있다. 그것이 애초에 겨누어진 목표라면, 의도된 경제 효과 전략이라고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역설적으로 탈락해도 장사가 잘된다면, 다음 시즌에서는 탈락의 고배가 주는 극적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겠다.

 

People who watch programs that emphasize taste are unaware of taste, so they try to experience it by visiting the restaurants of chef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trangely enough, we are also visiting the restaurant of those who were eliminated early. If that was the goal in the first place, it could be said to be an intended economic impact strategy, but in most cases, it is not. Paradoxically, if business is good even after being eliminated, the dramatic effect of being eliminated will inevitably be reduced in the next season.

 

더 나아가 이 프로그램이 흑수저와 백수저의 계급을 인위적으로 나누고 대결을 벌이는 구도가 흥미를 자극하지만, 최종적으로 음식을 먹고 나서의 이용자 후기(최종 승자 결정 이후)가 더 중요해지는 이유다. 현실과 오디션이 공진화를 이룰 수 있으면 좋겠지만 말이다.

 

Furthermore, although this program's structure of artificially dividing the ranks of black spoons and white spoons and pitting them against each other stimulates interest, user reviews after eating the food (after determining the final winner) become more important. It would be nice if reality and audition could co-evo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