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로지와 문화 콘텐츠

엑소와 나영석의 '신서유기'까지… 웹콘텐츠 성공법의 비밀

부드러운힘 Kim hern SiK (Heon Sik) 2015. 9. 15. 18:05
▲스타캐스팅은 기업체나 콘텐츠 제작사를 막론하고 공통분모다. (사진 = SM / 네이버TV캐스트)




웹예능이라는 불리는 나영석 사단의 '신서유기'가 크게 주목을 받으면서 크게 환호가 일었다. 이유는 텔레비전 예능이 아니라 이제 웹예능도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결과를 보면 당연히 맞다. 다만 속살로 들어가면 과연 그럴까 싶다. 


웹예능은 말그대로 텔레비전 편성을 받지 않아도 디지털 공간에서 그대로 방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송사들의 지배적 통제권에서 벗어날 수 있으니 컨텐츠 기획 제작자들에게는 복음이다. 물론 웹플랫품은 별도로 간주하고 말이다. 인기만 있다면 물의를 일으킨 연예인이 출연해도 문제가 될 게 없다. 아쉽게도 웹예능은 웹드라마와 같은 운명과 맥락 안에 있다. 적어도 초기단계에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영석 사단의 웹예능이 히트를 쳤다고 하여 웹예능 자체의 시장성을 확증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웹콘텐츠에는 스타가 필요한 게 사실이다. 새로운 미디어 양식의 숙명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웹콘텐츠는 웹영상콘텐츠인데, 웹방송콘텐츠라고 말하는 것이 정확할 지 모른다. 이렇게 부르는 이유는 웹이어도 방송의 원리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웹소설과 웹툰과 별도로 웹드라마와 웹예능프로가 이에 속한다. 스타는 새로운 콘텐츠 영역이 미디어의 출연과 함께 맞물리면 초기 홍보와 각인을 위해 필요한 일이다. 스타성은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웹방송콘텐츠에 중요한 초기 효과를 발휘한다. 실제로 '신서유기'도 나영석이라는 스타피디의 '브랜드파워'가 웹예능의 반응에 영향을 미쳤다. 


스타파워가 확실하게 미치는 것은 웹드라마도 마찬가지다. 웹드라마에 아이돌 그룹이 주로 캐스팅됐던 것은 이 때문이다. 스타캐스팅은 기업체나 콘텐츠 제작사를 막론하고 공통분모다. 연예기획사들이 웹드라마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려 한 것은 이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나영석 사단의 웹예능 진출은 연예기획사에게도 불을 지피는 결과가 될 것이다. 유재석 등을 영입한 FNC가 웹예능을 통해 중국에 바로 진출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중국은 웹닷컴이 성공적인 방송모델로 자리를 잡고 있으니 이점에 착안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그렇다면 웹예능에 대한 시장성은 아예 없는 것이고 단지 스타파워 덕분에 일어나는 일시적 현상일까. 아니 스마트모바일 이용자들은 굶주려 있다. 생각해 볼 점은 일단 '단지 웹예능프로그램을 올렸는데 반응이 좋은 것과 기존 방송예능 프로그램 반응사이에 다른 것이 무엇인가'다.


웹영상콘텐츠는 그냥 인터넷에 영상을 올리는 것이 아니다. 스마트모바일 환경의 핵심원리다. 즉 콘텐츠 소비에서 그 중심축인 스마트폰 문화의 형성에 따라 활성화되고 있다. 때문에 이에 맞는 인지적 몰입의 요인을 잘파악하고 기획을 세우고 연출을 해야 한다. 마케팅 방법도 마찬가지다. 예컨대 스마트모바일 환경은 예능을 그대로 올리거나 한편을 쪼개어 올리는 것이 아니라 쪼개진 서사구조를 애초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신서유기'가 잘개 쪼갠 이유다. 


이동간에 많은 시간을 들여 몰입을 할 수 없는 것이 스마트모바일의 콘텐츠 환경이다. 따라서 쉽게 몰입하고, 즉응적인 재미를 얻을 수 있는 컨텐츠 디자인이 필요한 것이다. 애초에 디지털공간은 기본적으로 재밌는 콘텐츠를 원한다. 정보나 지식은 유목적적인 행위에만 큰 가치를 지닌다. 특히 스마트모바일은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나영석 피디의 웹예능이나 엑소의 웹드라마는 스마트폰으로 더 즐겨보는 대상인 것이다. 본방이라는 것을 염두하지 않고 말이다.


그럼에도 궁극적으로 생각해야 할 점은 수익성과 저변성의 확보다. 지상파나 케이블과 같이 안정적인 다수의 시청자를 확보하기는 아직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분간 스타파워에 의존해야 한다. 그러한 의존의 지속성은 스마트모바일종족의 번성과 맞물려 있다. 시간적 추이를 보거나 그에 맞추어 제작 활성화가 일어날 것이다. 그 기간까지 여전히 수익모델의 확립은 여전히 과제로 남을 수 밖에 없다. 


또 프로그램 자체의 판매가 화제성에 비례할지라도 이미 웹에 노출된 컨텐츠를 기존 방송사가 구입할 수 있을 지 생각해봐야 한다. 요즘의 시청행태는 본방 사수를 하지 않는 것이 미덕아닌 미덕이 돼버린 상황이니 말이다. 아이돌과 스타피디의 유명세가 덜할 수록 그것은 시장적 안정성을 갖는 것임을 거꾸로 증명하는 셈이다.


김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