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영의 실수, 버추얼 아이돌이 인기 그 실체는...
글/김헌식(중원대학교 특임교수,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 평론가)
광고나 홍보 모델은 가장 설득의 효과가 좋을 수 있는 호감이 어려 있어야 한다. 평판이나 이미지, 브랜드 효과도 좋아야 한다.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업을 막론하고 눈에 띄는 광고나 홍보 모델이 있어 눈에 띄고 있다. 아이돌 그룹이 이런 모델이 되는 것이 이제 대세를 넘어서 최고의 마케팅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사람이 아니라는 점이 더 주목받고 있다. 바로 버추얼(가상) 아이돌이 그 주인공이다. 가상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PLAVE)는 빼빼로 협찬 상품을 완판하고 2차 상품까지 출시하게 했고, 버추얼 걸그룹 ‘이세계아이돌’은 찜닭 세트의 광고 모델로 활동해 좋은 실적을 견인했다. 버추얼 아티스트 ‘나이비스’(Naevis)는 서울디자인 2024 홍보대사, 칠성사이다의 캠페인 모델로 기용되었고, 11인조 생성형 AI 걸그룹 ‘이터니티’는 부산단편국제영화제 홍보대사를 맡기도 했다.
\
이렇게 광고 모델이나 홍보 모델로 기용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은 10~20대의 관심이 많으므로 해당 분야에서 관심을 보일 수 있다. 새로움은 항상 상품성을 지닐 수 있기에 버추얼 아이돌에 대한 신선함과 그에 따른 호기심 때문에 주목할 수 있다. 더구나 최신 첨단 기술의 적용도 한몫하는 듯싶다. ‘플레이브’(PLAVE)는 대한민국 최초 버추얼 보이그룹을 표방했는데 무엇보다 3D 그래픽 기술인 ‘언리얼 엔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간으로 세밀한 얼굴 표정이나 몸짓이 가능하고 감정표현까지 할 수 있다. 더구나 애니 만화체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친근함이 더해진다. 무엇보다 가상 캐릭터라는 점을 확실하게 그 정체성으로 하면서 만화주인공의 느낌을 강화한 셈이다. ‘나이비스’(Naevis)는 인공지능 보이스로 자연스러운 음성을 제공하는가 하면 외모 자체나 움직임에서 하이퍼 리얼리즘 비주얼을 자랑하는데 이는 인간보다 더 사실적인 느낌을 주려 했다.
세계 최초의 K팝 11인조 AI 아이돌 그룹을 내세운 ‘이터니티’는 생성형 AI 솔루션 '딥리얼 라이브'(DEEP REAL LIVE)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는 사람의 실제 몸에 얼굴만 인공지능의 생성 캐릭터를 결합했다. 기획형 아이돌이 생성형 인공지능과 만나면서 팬들이 원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낸 것이다. 성형돌이라는 오명을 벗어날 법했다. 미래의 가능성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버추얼 걸그룹 ‘이세계아이돌’은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화제성을 높여왔다. 메타버스 공간을 인정한다면 다채로운 활동을 가상 공간에서 같이 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면 차별화도 이루지만 제작과 운영 과정의 비용을 줄여 효율성을 높여주는 점이 꼽힌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할수록 많은 학습을 할 수 있고, 더 자연스러운 활동을 통해 세계 팬들과 교류 소통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단지 이런 점들 때문에 버추얼 아이돌에 관심 두지는 않는다. 그들은 단지 캐릭터에 불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플레이브’가 초동 103만 장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2022년 데뷔 앨범으로 불과 초동 2만7000 장을 기록했던 ‘플레이브’는 2년도 되지 않아서 초동 100만 장을 기록했다. 2025년 보이그룹으로는 처음이고 가상 아이돌 역대 성적 가운데에서도 최고였다. 더구나 음원 차트에서도 1위에서 5위까지 앨범에 수록된 다섯 곡이 모두 차트 줄 세우기를 했다. 아울러 전체 발매 곡 기준 누적 스트리밍이 10억을 기록해 멜론의 전당 ‘빌리언스 클럽’에 입성하기도 했다. 이렇게 연이어 이른바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확실하게 팬덤이 구축된 사실을 보여주는데, 무엇보다 그들의 음악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음악적 수준 자체가 만족할만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음악을 소비하는 방식이 바뀐 점이 작동하기도 한다. 팬들은 ‘플레이브’의 멤버들이 직접 작사·작곡을 하는가 하면 직접 프로듀싱을 맡아 '자체 제작형 아이돌'의 면모를 갖췄다는 홍보에 대해 거부감이 없다. 이유는 세대 문화의 특징이 있어서다. Z세대들은 실제 누가 음악을 만들었는지 궁금해하지 않는다. 비록 그들이 진짜 사람이 아니더라도 문화적 기호와 음악을 즐김에 만족도가 크면 그만이다. 완성도와 만족도에서 팬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계속 선보인다는 점이 주효할 뿐이다. 보통 소속사가 버추얼 아이돌이 사람보다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좋아한다고 하지만 소모되는 비용을 음악에 집중투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후의 버추얼 아이돌이 집중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다. 그것은 단순히 음악만이 아니라 팬들의 삶을 반영하고 동반 성장하는 소통의 과정이 지속이 되어야 하는 과제는 여전하기 때문이다.